Plato and Aristotle on the Problem of Akrasia seen in the Philosophical Value of Tragedy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305-336 (2022)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와 이를 수정하고 극복하여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옹호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크라시아론 각각이 고대 그리스 비극의 철학적 가치에 관한 두 철학자의 양립 불가능한 태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일련의 논의의 출발점은 플라톤이 어떤 정치적인 의도에서 일상의 경험에 배치되는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를 역설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논변을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항변하게 됐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다. 우선 플라톤의 논변과 관련하여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보다 폭넓은 인류학적 전통에서 철학과 시(詩) 사이의 오랜 불화라는 플라톤의 정치 철학적 관점에서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부정 테제에 대한 탐구를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크라시아의 원인이 무지라는 그의 주장이 사실상 아크라시아 현상을 옹호했던 시(詩)에 대해 플라톤이 가했던 주지주의적 철퇴임을 밝힐 것이다. 다음으로 플라톤과 대조적으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견지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을 추적할 것인데, 그가 앎과 무지의 성격 각각을 규명하고 무지가 발생하게 되는 기제를 면밀하게 파헤침으로써 플라톤의 아크라시아 개념을 수정할 뿐 아니라 이를 새로운 차원에서 재정립시키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앎의 소유와 활용, 개별 전제의 활성화 문제 그리고 완전한 지식의 소유 여부 등에 대한 후속 논의를 통해 그는 아크라시아적 행동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욕구와 같은 감정을 지적함과 동시에 숙고를 거쳐 참된 앎을 갖고 있어도 구체적인 상황에서 감정에 이끌려 도덕적 행위에 실패할 수 있는 유약한 부류의 아크라테스 논의를 통해 자신의 아크라시아론을 개진하고 있기 때문이다.BR 이와 같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각각의 아크라시아론의 의미와 한계를 비교 검토한 후 두 철학자가 아크라시아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시의 중요 장르인 비극과 그것의 가치를 두고 두 철학자가 취한 상반된 태도를 살펴본 다음, 시에 대한 그 둘의 태도와 각자의 아크라시아론이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주장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에 적대적이었던 플라톤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이 갖는 철학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서 이성과 감정에 대한 두 철학자의 태도가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의식의 진화에 대해 말하자면, 구술성과 그것에서 연원하는 문자성의 성장 둘 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플라톤을 넘어서 철학과 시 둘 다를 수용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혜안이 더욱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탈진실 시대에는 이성이란 악기 독주자가 지휘자도 겸한 상태에서 감정이나 욕구 등과 같은 오케스트라와 경쟁하듯 협력하는 ‘성찰적 절충주의’라는 콘체르토가 더 큰 울림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ristotle’s Apology for Akratēs. 김상돈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1-30.
Erōs and Nomos in Aristophanes' Speech of Plato's Symposium - of the feud between philosophy and poetry -. 조흥만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4 (54):275-293.
Educational Reformation in the Teaching Method of Socrates - Mainly focused on Socratic Irony and Teaching as a Gift. 조흥만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3 (83):331-356.
A Debate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in the Contemporary Ethics. 김남준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6):1-33.
Antigone’s Ethic and Its Universality. 신은화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235-258.
Philosophical Meaning of Methodology of Plato's Rhetorical Education - Focused on Apology of Socrates, Defense of Palamedes, and Gorgias -. 김요한 & 박규철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81-94.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The Time of Woman and the Time of Aion. 연효숙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89-1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5

Downloads
11 (#1,423,075)

6 months
5 (#1,053,84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