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2
    Is Pierre Charron a Pyrrhonist or Not? -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the New Academics in Of Wisdom -. 박규철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07-122.
    피에르 샤롱은 몽테뉴의 새로운 피론주의를 계승한 피론주의자다. 하지만 그는 피론주의자들에게 금기의 대상이었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를 수용함으로써, 전통적인 피론주의자였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와 새로운 피론주의자였던 몽테뉴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지혜에 관하여』에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다양한 흔적들이 존재하는데, 필자는 이것을 다음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BR 첫째로, P. 샤롱은 몽테뉴의 『수상록』에 흩어져 있던 도덕철학적 논의들 중 의미 있는 것들을 가려 뽑아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혜의 안내서’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지혜에 관하여』였다. 그의 이러한 작업의 배경에는 현세의 삶의 영역에 있어 실천의 문제를 강조하였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Is Pyrrho’s Skepticism Continuous with Pyrrhonism? - Focused on the Study of Lives and Opinions of Eminent Philosophers of Diogenes Laertius, On Philosophy of Aristocles, and Preparation for the Gospel of Eusebius. 박규철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09-230.
    그리스 철학사에서 피론은 그리스 최초의 회의주의자임과 동시에, 아이네시데모스가 창설한 피론학파의 시조였다. 그는 삶의 문제에 있어서 ‘초연함(adiaphoria)’과 ‘태연함(apatheia)’ 그리고 ‘마음의 평정(ataraxia)’을 강조하였으며, 외부 대상에 대한 ‘이해불가능성(acatalepsia)’과 ‘판단유보(epoche)’의 원리를 정립하였다.BR 서구철학사에 나타나는 피론의 모습은 다양하고, 기이하며, 이중적이고, 모순적이기까지 하다. 필자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아리스토클레스의 『철학에 대하여』그리고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일차적으로는 그의 회의주의가 피론주의가 아니라는 테오도시오스의 시각을 불식시킴과 아울러, 궁극적으로는 그의 회의주의가 후대의 피론주의와 연속하는 철학임을 밝혔다.BR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에 나타난 아리스토클레스의 토막글들은, 피론 철학에 대한 다양한 모습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Philosophical Meaning of Methodology of Plato's Rhetorical Education - Focused on Apology of Socrates, Defense of Palamedes, and Gorgias -. 김요한 & 박규철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81-94.
    본 논문은 고르기아스의 『팔라메데스의 변론』 및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론』와 『고르기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리스 사회에서 교육매체로써 수사학적 교육방법론이 지닌 철학적 의미와 한계를 고찰하면서 그 현대적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 고르기아스 수사학에 대해 플라톤이 가지고 있던 이중적인 생각을 밝히고자 주력하였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의 삶과 철학을 옹호하고 그것을 아테네인들에게 선전하기 위해, 당대 아테네인들에게는 인기 있었던 고르기아스의 작품과 그의 수사학을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차용하였다. 이는 플라톤이 고르기아스와 연속하는 특징이다. 그런데도 그는 고르기아스와 불연속 한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1
    Skepticism of Aenesidemus - Focused on Analysis of PH, DL, Bibl and Prae. Evang. -. 박규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13-238.
    피론주의를 부활시켰던 아이네시데모스는 고대 회의주의 역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처음에는 아카데미 학파의 일원이었으나, 독단주의로 경도된 아카데미학파를 떠나 회의주의자인 피론에게서 새로운 철학의 가능성을 찾았기 때문이다. 그가 부활시킨 피론주의는 크게 다음 3가지 특징을 가진다.BR 첫째, 아이네시데모스의 주저는 『피론의 담화』이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 열전』, 섹스투스의 『피론주의 개요』,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에 등장하는 아리스토클레스의 언급 그리고 포티우스의 『도서관』등에 이 책의 단편적인 내용들이 존재한다. 섹스투스와 라에르티오스의 보고는 정당하나, 아리스토클레스와 포티우스의 보고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후자들은 그의 회의주의를 소개하면서 그의 철학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