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秦儒家에 있어서 時中의 문제 – 孔 ・孟 時中사상의 易庸論的 접근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5 (55):305-331 (2008)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莊子』 내외편에 보이는 寓話를 중심으로 장자 및 장자학파와 유가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사실 우화에 등장하는 공자를 비롯한 유가를 비롯한 수많은 인물들은 장자의 이념이 반영된 것이며 심지어 가공인물로 설정된 경우도 있지만, 장자학파의 유가에 대한 이해 양상을 엿볼 수 충분한 자료이다. 당시 백가쟁명의 특성상 비록 장자학파에서 유가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그러한 비판의 근거 및 내용에는 상대에 대한 일정한 이해가 전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莊子의 우화에 포함된 형식을 통해서 보면, 인물 설정의 단계가 1) 공자의 제자, 2) 공자, 3) 노자(은자), 4) 장자로 이어지는 상향 관계로써 설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자의 우화에 보이는 인물 가운데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은 공자를 비롯한 유가이다. 여기서 공자의 형상은 대체로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조롱과 가르침의 대상이고 다른 하나는 장자의 대변인 역할이다. 후자가 전자에 비해 훨씬 많은데, 전자의 경우를 보면 공자와 대화를 나누는 사람은 모두 장자 자신의 이상을 반영한 가공 인물이거나 노자를 비롯한 은자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대화자가 대부분 공자의 제자이거나 君主 등이지만 그 내용은 장자의 이념이 반영된 것이다. 특히 형식적으로 군주들이 유가의 설득 대상이 된다는 것은 장자학파가 당시 현실 정치에 대한 관점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요컨대 공자를 비롯한 유가는 장자의 사상을 선양하는 데 이용되는 도구일 뿐으로 실제 유가와의 사상과는 배치된다. 다만 우화의 설정 배경이 실제에 근사한 경우도 있고, 내용 또한 유가와 크게 어긋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장자 사상의 형성 배경에 공자를 비롯한 유가가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장자의 우화를 통해 보면 장자학파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유가와 대립한다. 따라서 공자를 비롯한 유가는 장자 사상의 재료가 되고 배경이 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직접적 계승자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무엇보다 장자학파의 사상적 연원이라고 할 만한 것은 노자를 포함한 당시 은자 계통이라고 할 수 있다. 장자서에서는 설정된 가공 인물을 포함하여 수많은 은자들의 입을 통해 유가를 비판하고 장자의 사상을 선양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장자 자신의 이념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6,9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Criticism and Acceptance of Mohism in Huainanzi. 윤무학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9 (49):161-190.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The Structure of the Thinking of Ancient China seeing through the Theory of Names and Reality. 윤무학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25-44.
程頤의 정치참여의식에서 도덕의 위상 -- 『程氏易傳』을 중심으로. 주광호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2 (32):291-316.
Dual structure of mind in 『Guanzi 4』. 이은호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8 (58):141-164.
The Thought of Language in the Silk-Manuscript Yi-chuan(易傳) from Ma-wang-dui(馬王堆). 원용준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4 (24):347-38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8 (#1,226,070)

6 months
5 (#876,39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