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Opinion for Introspection of “an Essay on Art of Chuang-tzu”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4 (74):85-114 (2013)
  Copy   BIBTEX

Abstract

『장자』는 예술을 목적이나 대상으로 삼은 적이 없으며, 특정한 예술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서복관이 『중국예술정신』에서 『장자』를 ‘예술’로 讀解한 이후, 『장자』는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이해되는 획기적 전환을 맞게 된다. 이렇듯 『장자』를 예술로 이해하는 진술들은 『장자』와는 모순된다. 그러므로 『장자』의 외연을 예술의 영역까지 확장하는 논지들이 『장자』에 근거한 타당한 주장인지 등에 대한 반성작업이 요청된다. 이때의 반성작업은 ‘以莊解莊’, 즉 『장자』의 말과 글, 개념과 진술로써 『장자』의 “예술성”을 되 집어 보아야 하는 작업이다. 물론 미학연구 방법론에 따라 감성론이나 심미론 등의 측면에서 『장자』의 사유를 심미감성론으로 고찰해본다면 그것은 가능할 것이다. 美/醜 등의 개념이나, 함지악 등이 심미감성론적 이해의 틀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心의 高揚의 과정인 숭고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감성론⋅심미론의 영역으로 미학적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미학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장자』를 반성하여 볼 때, 『장자』의 사유에서 예술 혹은 예술정신을 찾아 볼 수는 없다. 장자의 사유는 예술이나 문화를 온축하여 전해주는 人爲가 아니라 無爲無不爲, 無爲自然을 주된 내용으로 하기 때문이다. 다만 儒學적 프리즘에 투영된 장자가 예술의 흥기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장자의 사유가 내용으로써 유가적 형식과 만나 예술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장자』에는 후대의 예술작품이 가능하게 된 철학적 배경이나, 예술이 성립할 수 있는 최후의 근거들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외연을 넓혀 가는대는 인위와 인문적인 儒學의 틀거리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 역할을 담당한 사유가 바로 玄學이었다. 그러므로 『장자』의 사유와 현학의 사유는 구별되어야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6,9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Guoxaing and the Establishment of Zhuangzi. 정세근 - 2024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2:159-182.
Tao and Technique in the Chuang Tzu. 김시천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9 (59):57-74.
A model of understanding emotion in Daoism - focusing on the Zhuangzi -. 김형중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79-117.
『장자』의 비극미학적 사유방식. 탁양현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4):161-190.
An analysis of the human difficulties and the relationship of things in Zhuangzi thought. 한경덕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5 (25):333-35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6 (#1,757,105)

6 months
1 (#1,602,12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