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A Study on ≪shu≫ quotation of the ≪XunZi≫. 이은호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5 (85):69-98.
    孔子이후 齊魯지역을 중심으로 諸子百家가 등장하였는데, 그들의 작업은 古代文獻의 整理와 再解釋이었다. 諸子들은 殷周文化의 再解釋을 통해 당시의 혼란한 政局을 수습하고 統一國家를 지향하고자 하였다. 荀子는 墨子․孟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써 上古의 『詩』, 『書』를 인용하였다. 荀子에게 있어 聖王이 전하는 經典이 담고 있는 의의는 동일하였다. 『荀子』의 『書』인용은 모두 50여차에 이르고, 全篇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荀子』의 『書』인용은 전국시기 荀子가 “注釋”한 『書』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今文 가운데 「洪範」, 「康誥」, 「呂刑」등 刑罰에 관한 내용이 많이 인용되고 있는 점은 荀子의 사상적 특징과 관련이 있다. 『荀子』에 보이는『書』인용의 가장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7
    Dual structure of mind in 『Guanzi 4』. 이은호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8 (58):141-164.
    전국시대(戰國時代)의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전대(前代)의 역사적, 철학적 유산을 기반으로 온고지신하는 학문태도를 견지한 것과 아울러 하나같이 사람의 마음(心)과 도(道)에 관한 논의를 벌여왔다. 맹자(孟子)와 장자(莊子) 등 전국시대를 살았던 학자들은 인간의 ‘심(心)’에 관심을 기울였고, 그러한 심(心)을 천명(天命)으로 충만시키든지 아니면 헛된 욕심을 비워내는 방법으로써 인식이나 행동에 그 결과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심(心)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다양화되면서 심(心)의 다중구조는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管子四篇』은 전국학(戰國學)을 총정리하는 종합서의 성격을 지닌다. 『管子四篇』이 당시 학자들의 수많은 ‘심(心)’에 대한 궁구를 담고 있는 까닭으로 그 안의 내용들은 단 한가지의 일정한 관점이 있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1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3):7-40.
    본 논문은 船山 王夫之(1619∼1692)의 『讀四書大全說-中庸』에 나타난 ‘戒愼恐懼’와 ‘愼獨’ 개념의 의미와 그 관계 양상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개념은 수양공부의 주요한 방법이며, 『중용』의 실천철학에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될 핵심 개념이다. 이러한 핵심 개념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만 수양론 전반의 의미와 특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유가의 수양론 연구를 위한 기초적 연구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수양 공부의 중요성, ‘戒愼恐懼’와 ‘愼獨’의 차별성, 그리고 존양과 성찰의 선후 관계 등을 중심으로 『중용』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息山 李萬敷의 天道有敬說 硏究. 이은호 - 200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6 (56):75-96.
    儒學에서 誠 · 敬은 이미 先秦시기 『中庸』과 『易傳』에서 그 철학적 가능성을 배태하고 있었고, 성리학에 이르러서는 수양론에 있어서 중요개념으로 떠오르게 된다. 특히 程子의 ‘主一無敵’이라는 敬에 대한 입론은 朱子에 이르러 인간이 內聖外王을 실현하는 가치개념으로 자리잡은 반면 誠은 天道를 설명하는 개념정도로 인식되고 만다. 조선의 경우, 息山이 살았던 시대에는 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각각 敬 중심의 철학과 誠 중심의 철학 등으로 나뉘어져, 학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심한 대립과 아울러 敬에 대한 올바른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그런 와중에 息山은 天道有敬說에서 天道와 人道가 제각각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7
    『孟子』의 『書』 인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 (76):215-238.
    『孟子』는 『書』篇의 인용이 많은 先秦文獻 가운데 하나이다. 孟子는 자신의 논리를 주장함에 있어 “言必稱堯舜”이라고 하여 고대 聖王의 『書』를 이용하여 논거로 삼았다. 『孟子』의 『書』인용에서 『今文尙書』와 내용이나 經文이 일치하는 곳은 13차례 보이고 총 6篇이 인용되었다. 현전 僞『古文尙書』와 내용이나 經文이 일치하는 곳은 21차례이고 총 8篇이 인용되었다. 그 외 逸『書』를 인용한 부분은 3곳이 있다. 『孟子』는 총 37번 『書』를 직접인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孟子』의 『書』인용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현전『尙書』에 없는 原『書』의 흔적이다. 『今文尙書』와 비교해서 대부분은 내용이 일치하거나 經文이 같지만, 『今文尙書』에 없는 先秦의 原「舜典」의 逸文으로 추론되는 文句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6
    Yun-hyu's Hongfan reading method and its characteristics. 이은호 - 201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2:7-3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