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 Wonhyo'

36 found
Order:
  1. On the Buddha as an Avatara of Visnu.Geo-Lyong Lee, Relic Worship, Yang-Gyu An, Sung-ja Han, Buddhist Feminism, Seung-mee Jo, Young-tae Kim, Jeung-bae Mok, On Translating Wonhyo & Robert E. Buswell Jr - 2003 - In Siddheswar Rameshwar Bhatt (ed.),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 India and Korea. New Delhi: Indian Council of Philosophical Research.
     
    Export citation  
     
    Bookmark  
  2.  62
    On Wonhyo's Concept of.Young-Seop Ko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6:127-146.
    Bunhwang Wonhyo was a philosopher in the Korean Shilla Dynasty. He was a successor to the Buddha's wise thought and merciful life on the basis of One Mind - Reconcilement -Interfusion. His One Mind philosophy opened a new way for researching the human abyss and worldessence. The breadth of his enlightenment also enabled many people to live in the vast sea of Buddha dharma, as his manner of thinking and living opened up completely new, unique, and encompassing vistas well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Wonhyo and logic.Charles Muller - manuscript
    In a recent article, the writer has broached the topic of indentifying distinctions in the modes of commentarial discourse within the exegetical works of the the Korean scholiast Wonhyo (617-686), taking note of (1) a rational/logical form of discourse that attempts to elucidate the point of a passage — and especially to resolve any doctrinal problems contained therein — using clear rational argumentation, and (2) an intuitive, poetic, form of discourse that tends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ultimate (...)
     
    Export citation  
     
    Bookmark  
  4.  54
    Wŏnhyo's doctrine of the two hindrances.Charles Muller - manuscript
    as a major force in the establishment of Hua-yen studies in Korea. A major component of Wŏnhyo's career that is sometimes overlooked in these characterizations, however, is the fact that he easily stands as one of the greatest Yogācāra scholars in the entire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m, having demonstrated a mastery of the Yogācāra doctrine equaled by probably no more than three or four individuals in the entire East Asian tradition. 1 Indeed, after K'uei-chi 窺基 and Hsüan-tsang 玄奘, there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5.  44
    Wonhyo's interpretation of the hindrances.Charles Muller - manuscript
    To start with, I would like to briefly say that as a result of my work in translating one of Wonhyo's major extant texts, I have come away with a greatly deepened appreciation of two aspects of his work: (1) the remarkable level of impartiality of the treatment that he gave to the wide range of Buddhist doctrine, and (2) the incredible degree of thoroughness with which he pursued his inquiries. But since these are points already well known to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6. Wonhyo on the lotus sūtra.A. Charles Muller - unknown
    Although there is no comprehensive extant biographical source for Wonhyo, scholars have been able to construct a general outline of his life based on a several fragmentary accounts. The most complete among these is that found on the Goseonsa Seodang Hwasang tapbi (Stele of the Reverend Seodang [Wonhyo] from Goseon Temple 高仙寺誓幢和尚塔碑).1 These include Wonhyo bulgi (Wonhyo the Unbridled 元曉不羈..
     
    Export citation  
     
    Bookmark  
  7.  42
    Wonhyo's Philosophy of Mind.A. Charles Muller & Cuong T. Nguyen (eds.) - 2011 - University of Hawaii Press.
    Leading East Asian Buddhist thinkers of the seventh century compared, analyzed, and finalized seminal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issues that had been under discussion in India and East Asia for centuries. Among the many doctrinal issues that came to the for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thagatagarbha understanding of the human psyche and the view of basic karmic indeterminacy articulated by the new stream of Indian Yogacara introduced through the translations and writings of Xuanzang and his disciples. The great Silla scholiast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43
    Wŏnhyo’s Theory of “One Mind”: A Korean Way of Interpreting Mind.Eun-su Cho - 2015 - Diogenes 62 (2):4-15.
    This paper outlines Wŏnhyo’s theory of the One Mind as it is presented in his over 20 extant works. According to Wŏnhyo, the One Mind manifests itself in two aspects: “true-thusness” and “arising-a...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9
    WonHyo(元曉)’s Philosophy of ‘Mind Interrelating as if Oneness’(一心). 박태원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27-54.
    『대승기신론』과 원효가 펼치는 일심一心의 언어에 대한 이해들에는 ‘본체·현상 존재론’이 적용되는 경우가 흔하다. 일심一心에다가 ‘모든 생멸하는 현상들을 지어내거나 포괄하는 본체’의 지위를 부여한 후 ‘생멸하는 현상들’과 ‘생멸현상으로부터 벗어나 불생불멸하는 본체’의 상호관계를 설명해 보려는 시선이 일반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시선은 ‘생멸生滅’과 ‘진여眞如’라는 개념도 각각 현상과 본체에 배정하곤 한다. 일심一心을 이런 시선으로 읽는 한, 원효나 『대승기신론』및 대승의 일심一心철학을 우파니샤드 아뜨만 철학의 범주에서 구출하기는 어렵다. 불변의 본체든 공한 본체든, ‘본체·현상 존재론’으로 일심一心에 접근하는 한, 우파니샤드의 사유구조에서 탈출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정작 원효가 펼치는 일심一心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7
    WonHyo(元曉)’s ‘Inter-Opening and Inter-Reception’(通攝) Philosophy of Differences. 박태원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1-440.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왜곡·오염된 차이’와 ‘사실 그대로의 차이’에 대한 성찰을 집중적으로 펼친다. 원효가 ‘언어·사유·욕구와 접속해 있는 차이’(相)를 ‘불변·독자의 본질/실체 관념에 포획되어 왜곡·오염된 차이’와 ‘불변·독자의 본질/실체 관념에서 벗어난 차이’로 구분하여 다루는 통찰은, 달리 말해 ‘동일성에 오염된 차이’와 ‘동일성이 벗겨진 차이’에 관한 통찰이다. 전자의 차이(相)는 ‘독점·배제·억압의 폭력’과 ‘무지·독단의 기만’에 힘을 실어주는 차별적 차이이고, 후자의 차이(相)는 ‘개방·수용·공유·호혜互惠의 평화’와 ‘사실에 접근하려는 성찰’의 토대다. 원효는 불교교학의 거의 모든 유형을 능동적 역량으로 탐구하여 그 결과를 ‘차이 통섭의 철학’으로 조직화시키고 있다. 일심이문一心二門, 본각本覺과 시각始覺, 공空, 유식唯識, 진여眞如, 여래장如來藏등 대승교학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4
    Wonhyo’ Viewpoint Embracing the Discipline System of Hinayana.Chan-Guk Kang - 201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1:81-10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9
    Wonhyo's Hermeneutic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Common Ground of Religiosity and Depth Dialogue.Yong Pyo Kim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6:23-5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22
    Wonhyo’s Yogācāra Buddhist Practice - Relation between Enlightment and Epistemology -.Chi-Hyoung Lee - 2018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30 (2):67-90.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4. Wonhyo's Reliance on Huiyuan in his Exposition of the Two Hindrances.A. Charles Muller - unknown
    When Yogācāra specialists take on the task of trying to introduce the tradition to newcomers and nonspecialists, whether it be in a book-length project, or an article in a reference work, they inevitably choose different points of departure, depending on their particular approach to understanding Yogācāra, and Buddhism in general. Some will start with the explanation of the eight consciousnesses; some will start with the four parts of cognition; some will start with the three natures; others will start with the (...)
     
    Export citation  
     
    Bookmark  
  15. Cultivating original enlightenment: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sutra, by Robert E. Buswell, jr.Charles Muller - manuscript
    This is a review of the book Cultivating Original Enlightenment: Wŏ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Sūtra, by Robert E. Buswell, Jr., published by the Univeristy of Hawaii Press. This volume, the first to be published in the Collected Works of Wŏnhyo series, contains the translation of a single text by Wŏnhyo, the Kŭmgang Sammaegyŏng Non.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6.  17
    Wonhyo's Philosophy of Mind.Sung Joo Ryu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7:39-6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7.  22
    On the Core Principles of Wŏnhyo’s Harmonization in Non-Obstruction Thought and Wilberian Integral Theory.Yong Shik Hwang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8:109-113.
    The core principles of 7th century Korean Buddhist thinker and practitioner Wŏnhyo’s harmonization in non-obstruction thought and Wilberian Integral Theory may help us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world better and thus act and live well together accordingly in this contemporary world facing global crises. Whatare particularly noteworthy in Wŏnhyo’s thought and life is that as much as reality is unobstructed (無礙) in its profound calm so can our mode of being and relationships be awakened to its natural harmony fre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8.  29
    Faith and the resolution of the four doubts in wonhyo's doctrinal essentials of the sūtra of immeasurable life muryangsu gyeong jong'yo ).Charles Muller - manuscript
    Among the numerous distinctive aspects of the work of the noted Korean scholar-monk Wonhyo is the broad range of traditions and texts that he accorded treatment — along with the unusual level of fairness and seriousness he brought to such works — an indication of his lack of sectarian bias. Another distinctive aspect of his work as an exegete is the extent to which his "religious" attitude — his concern for the nurturance of the faith in the minds of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9. The key operative concepts in korean buddhist syncretic philosophy: Interpenetration 通達) and essence-function 體用) in wŏnhyo, Chinul and kihwa.Charles Muller - manuscript
    Korean Buddhism is distinctive within the broader field of East Asian Buddhism for the pronounced degree of its syncretic discourse. Korean Buddhist monks throughout history have demonstrated a marked tendency in their essays and commentaries to focus on the solution of disagreements between various sects within Buddhism, or on conflicts betwee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While a strong ecumenical tendency is noticeable in the writings of dozens of Korean monks, among the most prominent in regard to their exposition of syncretic (...)
     
    Export citation  
     
    Bookmark  
  20.  6
    A Comparative Study on Wonhyo’s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Zhu Xi’s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이혜영 & 김원명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03-325.
    이 논문은 원효(元曉, 617-686)의 ‘한마음의 두 측면’[一心二門]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은 각각 참으로 그러한 ‘고요한 측면’[眞如門]과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生滅門], ‘본성’[性]과 ‘감정’[情]을 포괄하고 있다. 전자는 체상용의 구조이고, 후자는 체용의 구조다. 이는 마치 역(易) 철학시대의 고대 동아시아의 세계 이해를 담고 있는 이태극(二太極)과 삼태극(三太極)을 연상시킨다.BR 원효는 ‘한마음’에서 ‘하나’는 둘이 없는 하나로서 이해되기 어렵지만 ‘본성 스스로 신비롭게 이해하는 지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마음’이라고 한다. 한마음 두 측면에서 고요한 측면인 진여문은 마음의 본체(本體)를 가리키고,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인 생멸문은 상용(相用)이라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16
    Special Exposition or Private Exposition[Self Record]? - On the Textual Change of Wŏnhyo’s Special Exposition on the ‘Awakening of Faith’ -. 최연식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9 (89):65-102.
    현전하는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는 『대승기신론』에 관한 원효의 최초의 저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책의 문장에는 일부 부자연스러운 모습이 보이고, 원효의 다른 저술에 보이지 않는 ‘수연(隨緣)’이라는 개념이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등 여러 가지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현전『대승기신론별기』의 성립을 기존과 다른 시각에서검토하고자 한다. 나라시대의 사경 문서에는 원효의 『소』와 『별기』의 분량 비율이 2:1이지만 현재의 『소』(34,894자)와 『별기』(20,222자)의 분량 비율은 1.75:1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나라시대의 사경 형식에 의거하여 『소』와 『별기』의 사경 용지수를 헤아리면 『소』는 사경 문서의 분량과 일치하지만 『별기』는 약 2,500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2.  14
    The Trolley Problem for Wonhyo and the New Normative Ethnical Theory. 정진규 & 김원명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215-236.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는 원효(元曉, 617-686) 관점에서 트롤리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새로운 규범 윤리학 이론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트롤리 문제는 동일한 결과가 양산되는 유사한 두 가지 사례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도덕적 직관을 한 규범 윤리 이론으로 수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논의다. 우리는 이와 같은 트롤리 문제의 해결 방안을 원효 사상인 한마음과 화쟁에 근거하여 제시할 것이다. 트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중심에는 다원성과 행위자 중심 윤리 이론이 있다. 즉, 트롤리 문제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3.  13
    A Study on Wonhyo’s Hwajaeng Thought in North Korea - Focusing on ‘Hwajaeng Thought’ and ‘(Hwajaeng) Dialectics’ Found in Han, Myeong-hwan’s (2010)『History of Joseon Philosophy』(2) -. [REVIEW] 김원명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7:41-66.
    본 연구는 한명환 (2010)의『조선철학전사』(2)에 나타나는 “원효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가운데 ‘화쟁 사상’과 ‘(화쟁) 변증법’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BR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처음에 “들어가는 말”이 있다. 두 번째로 북의 철학사상 연구 배경으로 ‘병영체제’의 ‘수령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를 살펴봤다. 세 번째로 “한명환의『조선철학전사』(2)와 ‘원효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을 살펴봤다. 이 내용은 북의 기존 연구들이 누적된 결과물이기에, 누적된 연구물들과 이 책 내용을 함께 소개했다. 네 번째로는 “원효 화쟁사상의 본질: 주체적이며 변증법적 사상이지만 지배계급 요구 반영”을, 다섯 번째로 “원효 화쟁의 논리: 발전된 변증법적 사유지만 상대주의적 궤변”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4.  9
    A Study on Karma and Pratityasamutpāda in the Exoteric Level of Wonhyo’s 『Ijangŭi』. 고은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27-50.
    『이장의』는 번뇌를 다룬 원효의 저작으로 1949년 일본에서 고서본이 발견된 이래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횡초혜일이 원효 『이장의』의 핵심 사상에 대해 유가론과 기신론계의 종합이라 평가한 이후, 이에 대해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나 이 논문에서는 유식으로 본다.BR 업(業)과 십이연기(十二緣起)는 초기불교부터 있었던 불교의 핵심 개념이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 연기의 의미와 구조는 새롭게 재편되어야만 하는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초기불교와 설일체유부에서 주장하는 십이연기의 삼세양중인과(三世兩中因果)는 유식에 와서 이세일중인과(二世一重因果)로 변모한 것이 그것이다.BR 원효『이장의』 현료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을 바탕으로 업(業)의 발현과 생(生)의 맺음에 대해 논한다. 즉 십이연기의 주체인 무명(無明)과 애(愛)와 취(取)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5.  59
    Repentance as a Bodhisattva Practice: Wŏnhyo on Guilt and Moral Responsibility.Eun-su Cho - 2013 - Philosophy East and West 63 (1):39-54.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26.  14
    La théorie de l’esprit unique chez Wŏnhyo.Eun-Su Cho & Nicole G. Albert - 2014 - Diogène 248 (4):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7.  22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ilosophical Systems of Buddhism and Kant - Focusing on the Absoluteness of Wonhyo"s Emptiness and Kant"s Transcendence -.Seok-Hwan Pyo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5:223-243.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8.  16
    A comparative study on similarity between Wonhyo and Whitehead thought.Seo-Yong Kwon - 2018 - Cogito 85:7-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9.  9
    A South Korean change and deployment of the Emptiness of N?g?rjuna?based on Wonhyo’s GeumgangSammaeGyeongRon. 윤종갑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1 (21):271-303.
    공사상은 시대와 지역을 뛰어 넘어 지속적으로 주창되어 온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의 하나이다. 특히 龍樹(Ngrjuna, 약 150~250)의 공사상은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등 대승불교를 표방하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절대적인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대승불교를 확립한 용수의 공사상이 중국에 전래되어 어떻게 수용되며[格義佛敎], 이것이 다시 한국에 유입되어 어떻게 변용ㆍ전개되는지, 또 그 독자성이 어디에 있는지를 元曉(617~686)의 공사상을 통해 조명하고자 하였다.처음 중국에 전래된 공사상은 老莊의 無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三家義[心無義卽色義本無義]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鳩摩羅什(344~413)에 의해 용수의 저작이 다수 번역됨으로써 공이 무가 아닌 緣起, 中道, 假名임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이해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0.  8
    The Features of Argument on the Discourse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and Its Interpretation of Wonhyo Shown in Sipmun-hwajgaenglon. 김태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439-462.
    본 논문은『十門和諍論』〈佛性有無和諍門〉에 나타난 불성 유 · 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쟁 및 이에 대한 원효(617∼686) 해석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유성 · 무성론의 논법보다 원효의 화쟁 내용이나 일심과의 관련에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十門和諍論』의 불성 논의에는 원효의 회통 부분이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유성론과 무성론의 논쟁에 대한 원효 해석을 통해 화쟁 방식을 추론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원효가 불성 유 · 무(佛性有無) 논의를 정리하는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BR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불성 유 · 무에 대한 두 입장의 타당성과 이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1.  11
    A Study on Harmonization thoughts in Wonhyo and King Jungjo. 안효성 & 김원명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5 (45):9-35.
    요즘은 여러 학문의 통섭(統攝)을 요청하는 시대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통섭적 전거를 우리 역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즉 원효(元曉, 617-686)와 정조(正祖, 1752-1800)에 주목하였다. 우선, 원효와 정조 시대에 그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요청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해보았다. 다음으로 그 시대적 요청에 따른 그들의 응답이었던 원효의 화쟁과 정조의 탕평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맺는 말에서 화쟁(和諍)과 탕평(蕩平)의 가치와 한계를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그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일 것이다. 그것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즉 두 가지 모두 혼란과 갈등이 유발되는 논리와 주장들을 조화롭게 하려 한다. 그러면서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2.  10
    A Study of the Hindrance of Worldly Knowledge(所知障) in Wonhyo's 『Ijangŭ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d only Science. 고은진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30.
    원효의 『이장의』에서 이장(二障)은 번뇌장과 소지장을 말한다. 번뇌장은 불변하는 자아가 있다는 아집(我執)과 소지장은 객관적 세계가 실재한다는 법집(法執)과 관계 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원효가 『이장의』를 통해 유식과 여래장 사상을 융합, 회통시키려 했다고논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장의』의 강조점이 유식(唯識)에 있다고 본다. 유식에서는 자아와 세계의 존재 방식에 대해 식(識)으로 설명한다. 유식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자아와 세계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라 오직 식(唯識無境)이다. 유식에서 자아와 세계를 생성하는 식은 크게 8가지로 전5식, 제6의식, 제7말나식, 제8아뢰야식이 그것이다. 원효는 책 서두에서 『이장의』를 쓰는 목적이 아집과 법집을 벗고,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을 증득하여 열반과 보리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3. Great Minds of the Eastern Intellectual Tradition.Grant Hardy - 2011 - Great Courses.
    Disc 1. Life's great questions: Asian perspectives ; The Vedas and Upanishads: the beginning -- Disc 2. Mahavira and Jainism: extreme nonviolence ; The Buddha: the middle way -- Disc 3. The Bhagavad Gita: the way of action ; Confucius: in praise of sage-kings -- Disc 4. Laozi and Daoism: the way of nature ; The Hundred Schools of preimperial China -- Disc 5. Mencius and Xunzi: Confucius's successors ; Sunzi and Han Feizi: strategy and legalism -- Disc 6. Zarathustra (...)
     
    Export citation  
     
    Bookmark  
  34.  32
    Jayasena’s Proof of the Authenticity of the Mahāyāna Scriptures.Shigeki Moro - 2018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6 (2):339-353.
    We can find some of the works of Indian Buddhist philosophers that prove the authenticity of the Mahāyāna sutras within Sanskrit, Tibetan, and Chinese textual sources. *Jayasena’s critique of *Asvabhāva’s proof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ommentaries of Kuiji. Numerous references to *Jayasena in Chinese Yogācāra scriptures indicate that he was regarded as a Yogācāra master. His revised proof was further revised by Xuanzang. According to Xuanzang’s biographies, *Jayasena was an Indian lay Buddhist scholar who had many non-Buddhist disciples. It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5.  63
    한국철학의 독자성.Byoungshup Park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29:205-216.
    1. What is Korean Philosophy? 2. What is Philosophy? : Philosophy as Axial Ideas, and Philosophy as Modern ideas 3. What are the distinctions of Korean Philosophy? 1. What is Korean Philosophy? What is Philosophy? It represents human, universal ideas. Does there exist Korean Philosophy that could represent the prevalent and universal ideas among Koreans, within the Korean regions? There are two popular meanings of Philosophy: a narrow meaning and a broad one. Korean Philosophy does not exist as philosophy within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6.  15
    Issues and Direction of the Study on the Taesŭngkisillon pyŏlgi. 김지연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36.
    현대 동아시아의 원효 연구에서 『별기』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고, 특히 한국에서는 『회본』에 의지한 결과 『소』가 중심이 되고 『별기』는 부수적인 존재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 였다. 그래서 본고는 원효의 기신론관을 더욱 명확히 드러내고자, 『별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별기』를 둘러싼 쟁점 가운데 원효의 『기신론』 이해와 『별기』와 『소』의 저술 순 서에 대한 여러 설을 살펴보았다. 전자에서는 원효의 기신론관을 ‘중관․유식의 종합․지 양’으로 보는 주장과 그와 관련하여 중관․유식을 진여문․생멸문에 대응시키는 관점에 대한 비판이 주요 논쟁점이었다. 후자에서는 『별기』→『소』라는 통설에 대해 『소』→『별기』또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