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ultivation and Language in Han Confucianism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73-193 (2023)
  Copy   BIBTEX

Abstract

‘수신(修身)’은 공자 이래로 유가 철학의 주요 주제였으며, 동중서(董仲舒)를 비롯한 한대 (漢代) 유가들 또한 이런 전통을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공자를 비롯하여 춘추전국 시대 유가 철학자들은 말을 조심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말이 진리를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수신의 과정에서 언어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대 유가들은 언어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인다. 동중서는 성인이 하늘의 뜻[天 意]에 따라 명칭을 지었다고 본다. 하늘은 비록 말하지 않고 행위 하지 않지만 ‘명(名)’을 통해 자신의 뜻을 드러낸다. 양웅(揚雄)은 “말은 마음의 소리이고 글은 마음의 그림이다” 라고 주장함으로써, 말과 글이 내면을 완벽하게 표현해줄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왕충(王 充)은 동중서와 달리 하늘의 의지 등을 믿지 않는 자연철학자이지만, 말과 글은 그것을 사 용하는 사람의 생각[意]과 감정[情]을 그대로 표현한다고 믿었다. 한대 유가들의 언어관은 수신의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양웅은 수 신을 위해 성인의 말씀이 담긴 오경(五經)의 학습을 강조하며, 스승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오경을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양웅은 오경의 말씀을 행동으 로 옮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인의 말씀을 듣는 것만으로도 내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 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말과 글은 사람의 정(情)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왕충은 ‘논 설(論說)’이 자기 자신을 갈고 닦는 데 중요한 방편이라고 생각했다. 좋은 문장은 마음속 에서 진정으로 우러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문장은 마음을 갈고 닦는 데 효과적이며 더 나 아가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데에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데 가장 우 선시해야 할 것은 올바른 도(道)를 정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대 유가들은 성인의 말씀을 읽고 들으며 좋은 문장을 쓰는 것이 수신의 좋은 방편이라고 생각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 Study on the Discourse of Communication Based on Selflessness(anattan). 임승택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313-337.
Learning of Mind on Toegye's Philosophy. 이치억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1 (81):209-234.
Mencius s Moral Leadership and Desirable Leader. 민황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31-160.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in LüZuqian(呂祖謙) philosophy. 연재흠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8 (38):63-96.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Analytics

Added to PP
2023-10-24

Downloads
14 (#1,278,375)

6 months
7 (#711,64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