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urce of the Objectivity of the Ritual - Focusing on the Idea of Categorization in the Xunzi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7:203-226 (2016)
  Copy   BIBTEX

Abstract

장자는 천에 의한 유가 윤리의 정당화를 비판한다. 천도(天道)에 비추어보면 유가나 묵가 모두 동일한 가치를 지니며, 어느 입장이 우월하다거나 시비를 가릴 수 없다. 순자는 장자의 비판을 받아들여 천과 유가 윤리와의 고리를 끊어낸다. 또한 그는 인간 본성(性)에서 도덕의 객관성을 찾으려는 맹자를 비판한다. 순자는 인간 본성은 악하다고 봄으로써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에 근거한 도덕을 상정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순자는 유가 윤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의 본질적인 속성에 눈을 돌린다. 이 때 순자가 주목하게 되는 것이 예의 분류(類)적 속성이다. 순자의 사유에서 예는 기본적으로 외부 대상에 대한 분류의 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의 가장 큰 기능은 나눔(分)이며 나눔은 인간의 분류라는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명(正名)」을 통해 드러난 이름부여는 분류에 근거하며, 분류는 자연성과 규약성을 지닌다. 분류의 행위는 언어에 독립적인 인간의 인지 능력에 기반하는 측면이 있으며, 동시에 규약적인 측면까지 포괄하는 증층적인 측면을 가진다. 인간의 유사한 경험의 구조에 기반한 분류의 자연성은 어느 정도의 객관성을 우리에게 보장해준다. 그러나 규약에 기반한 분류는 사회, 문화적 과정을 거치면서 변이를 하게 되며, 개인마다 문화권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고 다양성을 띨 수밖에 없다. 가치 다원주의적인 사고는 순자의 ‘통류(統類)’라는 개념에서 보인다. 순자는 우리가 류적 사고를 극대화하면 ‘통류’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통류라는 것은 선왕의 제도(制)와 법(法)을 익힘으로써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류’라는 것은 이전 세대의 정선(精選)된 경험의 집적물을 학습하고 실천함으로써 깨닫게 되는 것이다. 통류라는 것은 이전 세대의 역사적 경험을 학습하고, 그 경험을 대상화해서 바라볼 수 있게 되는 지혜이다. 따라서 통류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통류’의 다른 이름인 ‘예’ 또한 절대적이며 보편적이라고 할 수 없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순자의 심미의식 고찰 - 예론을 중심으로 -. 심현섭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9 (69):219-243.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Xun zi. 조원일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1 (71):45-66.
Ritual and Law in Xunzi. 강지연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19.
The Debate on Xin: Zhuangzi’s Argument and Xunzi’s Response. 신정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27.
Ritual, Body and Self : Focusing on Self-Cultivation in Xunzi. 양순자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177-200.
Mind(心) as a Moral Agent for Xunzi. 윤태양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5 (45):177-204.
A Study on the Expansion and Limitations of Xun Zi's Theory of the Origin of Morality. 박영진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7):97-120.
The Concept of Categorization and Ritual Propriety in Xunzi. 정재상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93-217.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0 (#1,471,436)

6 months
8 (#588,62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