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가의 생사관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2 (62):213-236 (2019)
  Copy   BIBTEX

Abstract

본문은 묵가의 “삼표”를 중심으로 생사관을 개괄한 것이다. 묵가의 삼표에는 비록 논리적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만 그것은 모두 묵가 집단 구성원이나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것이다. 특히 집단의 단순한 경험이라든가 당시 일반적이었던 미신 관념을 그대로 인식의 표준으로 삼은 것은 오늘날에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당시 묵가의 입장에서는 "십론"(十論)으로 대표되는 자신들의 이념을 선양하고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하였을 것이다. 묵가의 삼표는 세 번째 표준인 “국가와 백성의 이익의 유무”로 귀결된다. 본문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명」 편에서 묵가는 유명론 내지 운명론을 부정하고 현실적으로 주어진 자연조건을 노동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생명관을 제시하였다. 묵가에서 보면 생명은 곧 노동이다. 둘째, 「명귀」 편에서 묵가는 귀신과 상제의 존재를 긍정하지만 그것은 종교대상이나 사후 주재자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기 집단의 제반 이념을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절장」 편에서 묵가는 후장구상과 아울러 순장제도를 철저히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사람이 죽어서 귀신이 됨을 긍정하지만 언제나 귀신보다는 생명을 우선한다. 넷째, 「귀의」 편에서 묵가는 생사의 가치표준으로서 의(義)를 포함하여 모든 가치표준을 국가와 만민, 혹은 묵가 집단의 공리(公利)와 연계시키고 있다. 특히 죽음에 직면해서도 개인의 생명가치보다는 천하 국가에 “이로움”을 우선하는 집단주의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5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Mohist's Jianai. 윤무학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5 (55):221-245.
The Changes of Mohist School in Term of the Framework of "Book of Mozi". 손영식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85-211.
The Criticism and Acceptance of Mohism in Huainanzi. 윤무학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9 (49):161-190.
Education Philosophy Conveyed within 「Daśabhūmika-varga」 of 『Avatamsaka-Sutra』. 강기선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25.
Political Rationality in Mozi : Focused onIinterpretation ‘Identifying upward(尙同)’. 문한샘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1:237-258.
The Structure of the Thinking of Ancient China seeing through the Theory of Names and Reality. 윤무학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25-44.
Review and analysis about the Mojia’s Mojing Mathematical theory(Ⅰ). 황성규 - 2011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5 (35):233-263.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2 (#1,379,631)

6 months
6 (#891,98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