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Liberalism and Goods in Christian Doctrine

The Catholic Philosophy 25:215-240 (2015)
  Copy   BIBTEX

Abstract

돈과 신을 함께 섬길 가능성을 인간은 가지고 있는가? 이 질문은 육체와 정신의 조화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돈, 또는 재화를 영원한 가치인 신과 같은 지평에 놓고 섬길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섬김’이란 수단으로 이용하는 대상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섬김이란 그 자체로 의지를 고양시켜 지향하고 일치하고자 하는 내적태도를 가질 만한 대상에 해당한다. 우선 재화에 관한 신구약성서의 입장과 교회의 사회교리,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용과 즐김의 사상을 살펴보자. 신구약성서의 공통점은 재화에 대한 사적 소유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재물이 삶의 목적은 아니지만 삶에 필요한 수단인 점에서 긍정적으로 본다. 그러나 지상의 가치나 재물을 배척하지는 않지만 재물에 대한 집착에 대해서는 경고하고 있다. 교회의 사회교리는 사적 소유권 인정, 청지기의 책무, 재화 사용의 공유적 성격, 하느님을 섬기는 목적을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서의 재화, 재화에 대한집착 경계 등을 강조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느님은 인간이 그것에서 즐김(행복)을 찾는 정신의 목적이고, 그 밖의 다른 것은 하느님을 찾고 발견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수단이다고 구분함으로서 목적과 수단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교의 재화론 안에서 신자유주의적 체제를 비판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6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A Study on Liberalistic Citizenship. 조일수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1-24.
A Study on M. Scheler’ Opinions on Ressentiment. 금교영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41-160.
A Study on the soul & body thought of Huantan. 조원일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4 (94):169-190.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5 (#1,754,736)

6 months
3 (#1,480,77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