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계의 삶에 나타나는 ‘우정’과 ‘효행’의 양상을 분석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그의 삶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시론적으로 고찰한다는 목적 아래 논의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계의 삶에 나타난 ‘우정’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형식적인 관계 맺음을 지양하고 상대방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배려 · 희생하였고, 우정의 심화 · 확장을 위해 때로는 상대방과 거리 두기를 하고 또 때로는 적극적으로 자기반성을 하였으며, 거의 완성에 다다른 우정을 맺은 친우에 대해서는 예의를 지키면서도 격의 없이 대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우계의 삶에 나타난 ‘효행’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효행을 부모의 마음이 무엇인지 알고 따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구현 과정에서 풍속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의하였고, 효행은 자연스럽게 드러날 수 있도록 몸과 마음에 배어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심오한 학문과 폭넓은 지식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였으며, 사람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으로 효행을 설정한 뒤 관련된 일화를 들으면 기록해 두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계의 삶에 나타난 ‘우정’과 ‘효행’의 양상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시론적으로 고찰하였는데, 첫째는 그의 우정과 효행 양상이 현행 중학교 「도덕」과목의 교과서에 그 자체로 수록을 고려할 수 있는 훌륭한 도덕적 · 실제적 사례가 된다는 것이고, 둘째는 현재 「2022 도덕과 교육과정」내에서 개정이 진행중인 고등학교 ‘진로선택’ 과목 「인문학과 윤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