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기업과 엔지니어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정순미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7):127-154.
    이 연구는 교수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호관찰 수강교육의 집행 및 소년원 입소 등의 형태로 교육중인 청소년들의 사이버 윤리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교재 개발은 체제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교재의 개발은 과정의 명칭을 선정하고,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며, 교재의 유형을 결정하고, 교재 개발의 목적을 확인하며, 과목 자체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재 구성의 원리로서 설계 기법을 고려하며, 교재 구성의 특성으로 학습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교수요목을 개발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4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Multi-cultural Age - Focused on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 정순미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5):131-152.
    오늘날 한국 사회는 정보화․세계화 현상으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단일민족의식을 바탕으로 민족 동질성에 기초한 확고한 민족 정체성을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 추세와 단일 민족 의식 사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 사회는 강한 민족 정체성을 배경으로 타문화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상대적으로 강한 반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화적 인성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다문화시대에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 위해 한민족으로서의 고유한 민족 정체성을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Ethic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e' adaptation. 정순미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9):139-165.
    한국 사회는 정보화세계화 현상과 더불어 코리안 드림을 안고 찾아오는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국제결혼 증가 등으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현상은 한국 사회를 다양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다문화 현상은 외국인 근로자의 차별대우, 국제결혼으로 인해 한국에 거주하게 된 많은 외국인 배우자와 그 자녀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부적응 문제를 도덕교육의 과제로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도덕 교육이 다문화 현상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5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Debate Learning for the Morality Enhancement - Focu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 정순미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0):239-266.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산업화를 거쳐 정보화ㆍ세계화를 경험하면서 개인은 가치관의 혼재 속에서 혼란을 경험하고 있으며,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갈등 속에 분열 양상마저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도덕 교육은 학생들에게 하나의 특정한 가치관을 획일적으로 전수해서도 안 되고, 반대로 학생 자신의 가치관을 전적으로 학생 자신이 형성하도록 방치해서도 안 된다.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선택과 판단에 따라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한편, 그것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호 주관적인 합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토론 수업이 학생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22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정순미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171-190.
    최근 학생들은 남북한 화해 분위기에서나 긴장 국면에서나 모두 통일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통일비용을 우려하여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 통일교육이나 통일교육 행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효과적인 북한이해 및 통일교육을 위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기법의 개발 및 적용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북한 이해 및 통일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북한 이해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소재로서 대중문화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