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hengxuan’s View of Wuxing-Tiandao and the World of Gua-Qi-Shuo - Focusing upon the Epistemological Glance of Yi-Jian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381-406 (2020)
  Copy   BIBTEX

Abstract

鄭玄의 세계관은 五行天道觀의 입장에서 접근될 수 있다. 오행천도관은 오행의 관계망에 따라 천체운행의 질서를 도식화한 자연철학적 관점이다. 여기에는 易簡의 시선이 투사되어 있다. 易簡의 시선은 그가 『주역』에서 발굴해낸 용어로서,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론적 프리즘이다. 그것은 방법론상 取象運數의 방식에 해당한다. 이러한 방식은 太易氣化의 세계를 쉽고 간략하게 설명하는 데에 활용된다. 이러한 象數易學적 사유방식을 통해 그는 음양의 개념과 오행의 범주에 입각하여 우주의 元氣와 그 氣化의 원리를 도식화한다. 특히 卦氣論에 있는 卦象과 氣象의 방위적 관계를 매개로 하여 卦象과 氣數의 연역적 관계를 찾아낸다. 따라서 五行天道觀에서 易簡의 시선을 따라가면 卦象→氣象→氣數의 인식론적 과정이 담겨 있다. 이는 우주론의 신비주의적 색채를 옅게 하고 자연철학적 지평을 열어놓았다. 그의 세계관이 한대의 經學으로부터 魏晉의 玄學으로 나아가는 자연철학적 관문이 되었다면 그의 易學은 王弼의 義理易學의 관문을 여는 방법론적 문고리가 되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9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Yi-wei’s Taiyi-Yuanqi View and Its Pre-Experiential World-View of Qi-Xiang and Yun-Shu. 김연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57-179.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Taoism's cosmology on Yi-wei(易緯). 방인 & 석미현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63-181.
A Study of Wang Pi’s Translation of the Book of Changes. 신상후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31-6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4 (#1,278,375)

6 months
10 (#411,16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