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9
    A Study on the inter exchange of the metel and fire process of the principles of changes in the Early and Later Heanvens of Jeong-yeok. 김재홍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3 (83):93-115.
    『정역』은 19세기 김일부 선생에 의해서 저술된 철학서이다. 『정역』의 핵심적 내용은 하도‧낙서의 변화원리를 통한 금화교역과 선후천변화원리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정역』에서의 금화교역과 선후천변화원리에 대한 역 철학적인 함의를 논명하기 위해서 먼저, 하도⋅낙서와 역수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주역』에서의 선후천과 『정역』의 금화교역과 선후천변화원리의 역 철학적 함의를 구명하고자 한다. 『주역』에서는 천시天時를 기준의 성인지도의 가각여부를 선후천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정역』에서는 하도낙서의 금화교역을 통한 선후천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정역』에서의 역수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래 역수의 개념은 『서경』 「대우모」편과 『논어』 「요왈」편에서 처음 언급된 개념이지만 역수에 관해 체계적인 언급을 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A wisdom for Social Intgration based on 『I-Ching』. 김재홍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4 (74):29-53.
    현대사회는 사회적 희소가치의 분배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적 양극화로 인하여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가져왔다. 특히 우리 사회는 천민자본주의와 결부되면서 야기된 윤리적 타락은 이기주의, 물질만능주의, 생명경시풍조 등 많은 사회문제 유발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사회통합에 관해서 그동안 많은 연구 성과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의 극복을 위한 상생과 소통의 방법을 우리의 전통문화와 고전 속에서 모색해보고자 한다. 『주역』은 우리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역』의 창을 통해 그 원인과 해결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역』은 사회적 갈등의 원인에 대하여 천지비괘()에 「괘사」를 통해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주역』에 나타난 지도자 덕목에 관한 연구. 김재홍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9 (69):163-190.
    오늘날 현대사회는 사회적 희소가치의 분배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양극화 현상은 계층 간 대립과 갈등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많은 국가들은 이러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고, 나아가 사회통합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사회지도자들이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주역』의 창을 통해 바라본 지도자의 덕목이 무엇인지 모색해보기 위해서 『주역』의 64괘 「괘효사」와 「십익(十翼)」에서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과 역할을 분석해보고, 『주역』에서 밝히고 있는 지도자 상과 덕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역』의 「대상사」의 내용에 대인(大人), 상(上), 후(后), 선왕(先王), 군자(君子) 이라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8
    周易의 宗敎性에 관한 小考. 김재홍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5 (65):221-250.
    유학은 오랫동안 우리 사회의 윤리⋅도덕적인 가치의 기준으로써 문화의 중심축이며, 구성원들의 사유체계형성의 근원이었다. 그러나 유학은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적인 변화에 능동적 대처를 못하였다. 그 결과 유학은 자기 정체성 상실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전통문화로서의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유학의 당면과제는 대중과의 보편적 소통을 위해 능동적인 사회적 역할의 수행하고, 유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유학의 역동성의 근원이 윤리⋅도덕적인 가치체계를 넘어서 종교성에 기인해야한다고 보고, 그 당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학의 경전중에서 종교성에 대해 많이 언급돤 대표적인 경전은 『주역』이다. 따라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9
    『주역』에서의 人間 本來性에 關한 小考. 김재홍 - 2008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29:255-27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3
    Some Thoughts o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INCHNG in humility. 김재홍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7:173-19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