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sorrow energy․anger energy․joy energy․pleasure energy and great․small formation of four -shapes human’s organs, being based on the Diagram of King Wen’s eight trigram centering around the SaDanRon in DonguiSuseBowon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2 (72):63-84 (2014)
  Copy   BIBTEX

Abstract

본고는 『주역』의 文王八卦圖를 이론적 틀로 하여, 『동의수세보원』 제1권 「四端論」에서 핵심적으로 논하고 있는 四象人 臟局의 大小가 形成되는 원리를 고찰하였다. 동무는 『東武遺稿』 제3권 「성명론」에서 文王八卦圖를 통해 「성명론」을 직접 해석하고, 『격치고』 「유략」에서는 인간 본성의 이치가 文王八卦圖에 있다고 하여, 文王八卦圖가 『동의수세보원』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 됨을 밝히고 있다. 「四端論」에서는 그 첫 머리에서부터 四象人 臟局의 大小에 대하여 선언하고, 그것의 所以(까닭)을 哀怒喜樂의 性과 情에 있음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특히 「四端論」에서는 先秦儒學에서 인간의 마음작용인 情으로 논급된 喜怒哀樂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하여, 哀氣․怒氣․喜氣․樂氣의 생리적 氣를 통해 四象人 臟局의 大小 형성을 논하고 있다. 이는 동무의 四象哲學을 직접 四象醫學과 융합하는 것으로 사상의학을 이해하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 하겠다. 이에 논자는 文王八卦圖의 八卦에 배치되는 哀怒喜樂의 性氣와 情氣를 체용과 待對의 관계로 규정하여, 「四端論」에 숨겨진 四象人 臟局의 大小 형성에 대한 원리를 논하였다. 본 연구는 哀怒喜樂의 性情과 肺脾肝腎 大小의 형성에 대한 철학적 연구논문을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밝히는 새로운 방법론이라 하겠다. 즉, 『주역』의 文王八卦圖에 哀怒喜樂의추 性氣와 情氣를 배치하여 그 작용을 고찰하고, 哀氣․怒氣․喜氣․樂氣의 흐름에 따른 四象人을 이해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四象醫學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9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形而上學的 存在原理에 근거한 太陰人의 心作用과 流氣障碍. 김만산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9 (59):349-366.
Characteristics of Lee Je Ma's method of moral culture. 허훈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1 (51):7-38.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Sung Confucianism of Yulgok in Kiho School. 이영자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1 (21):71-9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1 (#1,420,064)

6 months
7 (#711,64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