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apeutic Effects of Ṣaṭkarma: focused on Gheraṇḍa-Saṃhitā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1 (51):65-100 (2017)
  Copy   BIBTEX

Abstract

여섯 [정화] 행법(ṣaṭkarma)은 하타 요가의 행법 중 육체의 치유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고 수행의 출발점이기도하다. 본고에서는 이 행법이 갖는 질병 치유 효과들을 『게란다상히타』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하타프라디피카』의 그것들과 비교해 보겠다. 이 행법은 ①다우티(dhauti), ②바스티(vasti), ③네티(neti), ④라울리키(laulikī), ⑤트라타카(trāṭaka), ⑥카팔라바티(kapālabhāti)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신체 청소 부위에 근거하여 GhS의 행법들 보면 크게 두 가지 면을 가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HP도 마찬가지이다. 하나는 음식물로 인해 신체 내부에 발생하는 물질적 오염물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식도, 위장, 대장, 직장을 청소한다(①, ②, ④). 다른 하나는 공기가 들고나는 통로에 발생할 수 있는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비강과 비강에서 입으로 이어지는 부위를 씻어낸다(③, ⑥). 이것들은 모두 오염부위를 직접 청소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음으로, 『게란다상히타』와 『하타프라디피카』의 행법들은 모두 크게 보아 두 가지의 신체 질병 치유 효과를 갖는다. 이 둘은 모두 신체의 건강 유지에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것들이다. 첫째는 세 도샤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 특히 카파 도샤의 불균형을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이다. 둘째는 소화의 불을 지피고 증가시키는 것이다. 제대로 소화되지 않은 음식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기에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소화력이 무엇보다 우선한다고 볼 수 있다. 고전 요가와 마찬가지로 하타 요가에서 질병 치유의 근본 목적은 마음의 평정을 찾는 데 있다. 그리고 『게란다상히타』와 『하타프라디피카』가 지분의 순서 구성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하더라도 출발점이 음식으로 이루어진 겹(annamayakośa)임에는 분명하다. 여섯 [정화] 행법은 미세한 신체를 다루는 다음 단계의 수행으로 나아가기 위한 단단한 기반 역할을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5,8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Effects of Practicing Āasanas in Haṭha Yoga: Focused on Three Main Texts. 김재민 - 2019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5 (55):207-243.
A Consideration about Dharmakīrti's Condition of ‘avisaṃvādin’. 권순범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 (38):27-56.
The concept of Dào as the basic axiom of Zhōuyì and Tàijà, Liăng-yì, Sixiàng and Bāguà. 정석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99-427.
Spinoza and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Sam-Yel Park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31-250.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A Consideration on the Cittānupassnā in Mahāsatipaṭṭhānasutta. 이은정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111-139.
캘리콧의 환경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동물해방: 삼극 구조」를 중심으로-. 김동창 & 김일방 - 2019 - Environmental Philosoph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27 (27):1-30.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6 (#1,291,182)

6 months
12 (#291,7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