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Dào as the basic axiom of Zhōuyì and Tàijà, Liăng-yì, Sixiàng and Bāguà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99-427 (2016)
  Copy   BIBTEX

Abstract

『주역』을 연구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그 내용체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일관된 논리체계로 통섭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 내용체계를 기본공리(axiomxiom)에서부터 연역하여 모순 없는 논리구조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주역』의 기본공리라 할 수 있는 것은 ‘도(道)’의 개념이다. 왜냐하면 『주역』은 변화를 말하는 저서인데, 이는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한다(一陰一陽).”로 표현되는 것으로 그러한 변화의 이치를 가장 함축성 있게 드러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연구과정에 있어서의 첫 작업으로, ‘도’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이로부터 연역하여 태극(太極)·양의(兩義)·사상(四象)·팔괘(八卦)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즉 이 논문에서는 먼저 ‘도’를 ‘도’ 자체와 존재로서의 ‘도’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도’ 자체는 ‘음양(陰陽)’이 상호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며, 존재로서의 ‘도’는 자신과 대대하는 존재인 ‘기(器)’와 더불어 ‘음양’의 두 쌍이 된다. ‘기’는 ‘음양’의 개념에 함축된다. ‘음양’은 대대관계에 있으면서 실재하는 대상들이며, 이 두 쌍의 형태와 이 두 쌍이 상호 변화하는 형태는 각각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태극·양의·사상·팔괘의 개념을 ‘도’ 자체와의 관계적으로 풀이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이 개념들이 모두 존재를 말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상호 동치관계로 규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태극은 ‘음양’의 합이며, 양의는 곧 ‘음양’이며, 사상은 ‘음양’을 네 가지 형상으로 구분한 것이며, 팔괘는 사상을 여덟 가지 괘의 형상으로 구분한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3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rinciple of Allocating the Wùxiàng in Shuōguàhuán to bāguà. 정석현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05-330.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in Zhōuyi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정석현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35-160.
Aspects of the Aesthetic Spirit Appeared in The Book of Changes. 이기훈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47-164.
A Study of Wang Pi’s Translation of the Book of Changes. 신상후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31-61.
Ethics of Feeling in Whitehead Philosophy. 김영진 & 김상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27-163.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A Consideration about Dharmakīrti's Condition of ‘avisaṃvādin’. 권순범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 (38):27-5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3 (#1,321,788)

6 months
7 (#706,90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