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학교현장에서 나타나는 폭력이나 공격행위 등의 다양한 문제행동은 청소년에게 주어진 환경적인 여건, 사회구조적인 측면, 현대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 등을 고려할 때 예상되어지는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학교 폭력의 특징적인 성향은 폭력발생의 빈도가 다른 비행행동 유형에 비해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과 학교폭력의 저 연령화 및 집단화․흉포화 추세에 그리고 폭력행위가 일부 청소년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많은 청소년들에게 일반화되어가면서 폭력행위 후에도 죄의식이나 책임감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학교 폭력의 발생은 청소년 개인의 발달 심리적 특성으로 인한 내재적 요인과 가정의 교육적 기능의 문제, 학교교육의 제도적 한계, 비교육적인 사회 환경 등의 외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보여 진다. 한편, 학교폭력의 문제는 특성상 장기적으로 다루어지고 장기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사회 각계와 각 부처에서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공동대처를 하기 위해 관련정보의 공유와 지원을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폭력에 대한 실태 및 사례의 심각성을 검토․분석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을 알아내고, 이에 대한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폭력 청소년들을 위해서는 가정의 교육적 기능 회복과 자녀에 대한 부모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교교사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특별지도와 사회의 관용적인 분위기 조성 및 비교육적인 환경정비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폭력예방을 위한 지도는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생활지도를 통해 언행이나 예의에 대한 특별교육과 폭력이 잦은 지역에 대한 사전주의 그리고 학교 주변의 폭력 제거를 위한 시도 교육청별????학교폭력 SOS지원단????과 학교폭력 전담 경찰관제 도입을 통한 학교 주변 순찰, 폭력사건 처리, 학생 선도 등의 업무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