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고에서는 기호학파에 있어서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전개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기호학파에서의 율곡성리학은 계승발전전개로 구분할 수 있다.‘栗谷性理學의 繼承’에서는 율곡직계인 김장생, 송시열, 한원진을 중심으로 이들이 율곡의 학설을 비판하기보다는 계승하면서 율곡을 보완하는 데에 치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李柬과 韓元鎭의 人物性同異論은 ‘栗谷性理學의 發展’적 면모로서, 이 논쟁에서 한원진은 栗谷의 理通氣局을 氣의 적극성으로 理를 보려 하였고, 이간은 理의 독자성으로 氣를 이해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끝으로 ‘栗谷性理學의 展開’는 ‘畿湖 折衷派의 批判的 繼承과 展開’, ‘主理論的 전개’, ‘主氣論的 전개’로 나눌 수 있다. 조익, 조성기, 전우를 중심으로 한 기호 절충파들은 존재론에서는 율곡의 氣發理乘一途를 수용하여 현상을 설명하면서도, 그로 인해 약화된 도덕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퇴계의 互發說도 수용하였다. 이항로와 기정진의 주리론적 전개에서 이항로는 현실세계에서 약화된 理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理氣共發을 주장하였던 반면, 기정진은 氣를 理에 포함시키고, 分殊를 理一에 포함시키는 理體理用의 理一分殊의 논리로 일관하고 있어, 율곡성리학보다 主理的으로 극단화되었다. 주기론적 전개의 대표자인 임성주는 ‘理氣同實 心性一致’를 목표로 하는데, 이는 율곡에 비해 보다 현실화되고 실재화된 인간과 자연의 이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이와 같이 율곡성리학은 여러 기호유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전승되고 계승되었다. 율곡성리학은 기호성리학의 다양한 전개에 있어 그 준거 및 전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호유학사에 있어서의 율곡의 위상이 매우 크고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