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lgok's understanding of ‘The highest goodness(至善)’ and the method of ‘To be careful-cautious and fearful-anxious’(戒愼恐懼) for its realization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1-20 (2015)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에서는 율곡의 ‘至善’이 도덕적 행위를 위한 외재적 법칙 혹은 도덕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明德과 新民의 최고 단계ㆍ궁극점’[極]임을 밝히고자 한다. 율곡은 가장 높은 단계로서의 지선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戒愼恐懼를 주장하며 이것은 타인과의 윤리적 관계를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계신공구는 미발공부로서 사려가 발생하지 않았지만[思慮未萌] 사려할 수 있는 능력[知覺不昧]을 갖춘 상태이다. 이러한 계신공구는 정신이 깨어있도록 유지하는 의지적 공부[未發]이며 도덕적 규범을 배우고 익히는 인지적 공부에도[已發] 적용된다. 우계와의 논변을 통해서 율곡의 至善에 대한 이해가 세분화되었으며 율곡 자신의 논리적 정당성은 주자의 이해를 통해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들이 활발했던 이유는 모두 인륜성의 완성을 통해 타자와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9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3):7-40.
Luo Jin Shun(羅欽順) and Yulgok(栗谷)'s the theory of Moral mind and Human mind. 최보경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4 (44):209-233.
The theory of cunyang and xingcha in Zhuxi`s philosophy. 이상돈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8 (38):39-62.
퇴계의 ‘未發’관 연구. 고재석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301-34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7 (#1,643,871)

6 months
5 (#1,067,83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