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Fû Hexagram[復卦] based on Zhu Xi[朱熹]'s Theory of Psychology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2 (52):281-310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심성론(心性論)에서 복괘(復卦)가 미발(未發)의 괘상(卦象)이라는 설명에 대한 현대 한국의 여러 학자들의 반론에 대한 반성적 연구다. 주희는 미발설(未發說)을 복괘(復卦)로 설명한다. 여러 연구자들은 복괘(復卦)의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과연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사려미맹(思慮未萌)’은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적당하지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본 연구는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가 미발설을 충분히 설명함을 보이고자 한다. 주희의 미발설은 중화구설(中和舊說)의 시기와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시기로 그 관점이 나뉜다. 중화구설 시기는 성체심용설(性體心用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하고, 중화신설 시기는 심통성정설(心統性情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한다. 두 시기 사이에 마음의 지위는 이발에서 미발이발을 관통하는 것으로 바뀌며, 그 역할도 ‘성(性)이 발(發)한 것’에서 ‘성정(性情)을 주재(主宰)하는 것’으로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는 미발에 대한 설명인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주희는 ‘사려(思慮)’를 성정의 관계에서 정처럼 말하지만, ‘지각불매’는 마음과 연관지어 설명하며, ‘지각불매’를 마음의 상태로 말한다. 그러므로 지극히 고요할 때[至靜之時]에도 ‘지각불매’하다고 말한다. 지극히 고요할 때는 미발의 때이고, 이러한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어둡지 않다는 것이다. 주희는 ‘지각’이 미발이발을 관통한다고 본다. 이러한 주장은 주희의 복괘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면 설득력을 가진다. 정이(程頤, 1033-1107)는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는 반면에, 주희는 곤괘(坤卦)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또 주희는 양(陽)을 사려나 감정이 아니라, ‘성정을 통괄하는 마음’으로 본다. 주희는 ‘복괘에서 천지지심의 단서를 본다’고 하였고, 복괘를 ‘양이 다시 회복했지만 만물이 아직 생겨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한다.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이나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의 단서를 복괘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주희의 이런 설명을 받아들인다면, 복괘는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하고,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는 미발설을 설명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8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hutzu'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전현희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289-319.
퇴계의 ‘未發’관 연구. 고재석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301-342.
A study on the Mind in Hu Hung’s Philosophy. 연재흠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5 (55):247-27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7

Downloads
8 (#1,589,825)

6 months
4 (#1,279,87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