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4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Universality of the Moral Education Theory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박영진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0):23-51.
    『논어』에는 공자와 제자들 사이에서 진행된 교육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이 있다. 기존의 사회질서가 무너져가던 혼란한 춘추시대를 살면서, 그들은 그에 대한 해결책을 교육에서 찾았고, 그 중에서도 도덕교육을 강조하였다. 지금 우리도 기존의 가치체계는 해체되어가고 있고 새로운 가치체계는 아직 형성되지 않은 과도기를 살면서, 그로 인해 나타나는 각종 부조리한 사회현상들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도덕과 그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금의 사회상황이 춘추시대와 일정 부분 유사하다고 간주하여, 당시의 공자와 제자들 사이에서 진행되었던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도덕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가 될 만한 요소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공자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6
    A Study on the Anti-Confucianism Movement in Early-Twentieth Century: Focus on Chen Duxiu and Lu Xun. 박영진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9):21-35.
    Originating from the teachings of Confucius, Confucianism became the mainstream of Chinese culture and had enormous effects on all aspects of Chinese society. Confucianism has gone through three major changes in Chinese history: the first occurred during the Han period, the second during the Song period, and the third during the Qing period, after the first Opium War. In the late Qing period, China experienced a rapid decline due to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s. Progressive intellectuals attributed this to th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5
    A Study on the Expansion and Limitations of Xun Zi's Theory of the Origin of Morality. 박영진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7):97-120.
    순자는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생리적 본능에 충실하려는 욕구 때문에 본성이 악하게 되고 사회도 혼란스러워지므로, 그것을 방지하고자 선왕이 도덕을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후천적 도덕으로 진행되는 교육을 통하여 모든 사람들은 악한 사람에서 선한 사람으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군자나 성인과 같은 도덕적 인격체로도 발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의가 숭상되는 도덕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순자는 도덕의 기원을 설명하면서 선천적 생리본능을 후천적 도덕가치로 비약시키는 논리적 오류를 범했을 뿐더러, 개인의 악함과 사회 전체의 혼란 사이의 상관관계를 타당한 논거를 갖고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순자의 도덕기원론은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4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자본주의 체제의 근간인 시장경제와 상품사회가 이미 보편적인 생활방식으로자리 잡은 오늘날,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만큼은되었지만, 물질에 대한 지나친 숭배로 사회는 오히려 物質萬能主義가 만연하게 되었다.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구성원간의 대립과 갈등이 첨예하게표출되고, 사회의 정의와 윤리가 무시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익에 대한 사람들의욕구가 강렬해질수록, 도덕에 대한 실천 또한 더욱더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있다. 도덕과 이익에 관한 문제는 고대윤리사상사에서 끊임없이 논의된 ‘義’와 ‘利’에관한 문제로, 그것은 곧 도덕원칙과 물질이익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처리할것인가의 문제이기도하다. 荀子의 義利論에는 ‘義’와 ‘利’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집중적으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5
    Zhu Xi’s Academic Approach based on Chinese Exegetics. 박영진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1 (51):243-268.
    한대의 훈고학을 숭상했던 청대의 고증학자들은 주희를 비롯한 송대의 리학자들이 경서의 의리를 천착하면서 훈고를 폐기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주자학에도 훈고학적 학문방법이 마땅히 있다고 보고, 그것을 주희의 문집과 어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희가 고서를 해석할 때는 구설에 얽매이거나 억측 또는 견강부회하지 말고 광범위한 독서로 다양한 문헌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정확성을 기할 것, 문장의 형세와 단어의 맥락을 파악할 것, 비교와 유추의 방법을 활용할 것, 역대 전문가들의 주석을 계승할 것, 의리에 입각하여 문장의 의미를 판단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것을 강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주희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