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phisticated Causes in the Phaedo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1-23 (2018)
  Copy   BIBTEX

Abstract

『파이돈』 102d10-107b10에서 제시되는 영혼 불멸에 대한 마지막 증명은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마지막 증명에서 소크라테스는 더 세련된 원인의 유형을 확립한 다음, 영혼이 몸에 삶을 가져오는 세련된 원인임을 보임으로써 영혼의 불사와 불멸을 증명하려 시도한다. 그런데 세련된 원인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예로서 제시되고 있는 것들, 즉 셋, 불, 눈, 그리고 영혼의 존재론적 지위에 관해 치열한 논쟁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는 이 논쟁의 주요 측면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그것이 마지막 증명의 타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한다. 일군의 학자들은 저 넷이 모두 내재적 형상이라고 해석한다. 반면 일군의 학자들은 저 넷 모두가 내재적 형상이 아니라고 해석한다. 이 글에서는 저 넷 중에는 형상과 형상 아닌 것이 혼재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혼재와 영혼의 존재론적 지위가 모호한 상태로 남겨져 있다는 사실이 마지막 증명의 효력을 약화시키고 있음을 보인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2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ppiness and the External Goods. 전헌상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33-56.
A Study on the Debate on the Authenticity Plato’s Seventh Epistle. 김은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28.
Anticipatory Pleasure and False Pleasure: Philebus 36c-41a. 전헌상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5:1-29.
Habituation and Pleasure. 전헌상 - 2022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6 (86):37-68.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321-34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0 (#1,469,173)

6 months
5 (#1,038,50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