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king at refugees(strangers) from hate and tolerance points of view

The Catholic Philosophy 31:5-34 (2018)
  Copy   BIBTEX

Abstract

혐오감정은 싫어하고 미워하는 여러 대상들에 대해 말과 행위로표현되는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집단 감정이다. 여성, 성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탈북 주민 그리고 난민 등에 대한 혐오 감정의 만연은 다문화 사회에 들어선 우리 사회에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있다. 해결이 요구되는 시급한 현실문제이다. 2절에서는 혐오감정을 홉스, 데카르트, 스피노자 그리고 흄 같은근대철학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3절에서는 혐오감정의 두 가지 기능(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을 혐오감정의 두 가지 기원과 관련해서 설명하고 있다. 혐오감정의 기원에 관해서는 마사 누스바움의 이론, 즉 원초적 혐오와 투사적 혐오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다. 4절에서는 혐오감정의 세 가지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5절에서는 난민 문제를 둘러싼 복잡한 구조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난민문제에는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확실성이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청년 세대들에게서 난민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보이는 배경으로이해되고 있다. 또 난민 문제에는 종교적, 문화적 갈등이 잠복되어있는 복잡성이 놓여 있다. 이슬람 포비아와 인종차별주의가 혐오감정의 배후에 놓여 있다. 6절에서는 난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관용의 윤리를제안하고 있다. 관용은 자유주의 덕목이며, 유가의 덕목인 서의 실천과 동일하다. 관용의 실천을 통해 이방인(난민)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경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난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9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The Trolley Problem for Wonhyo and the New Normative Ethnical Theory. 정진규 & 김원명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215-236.
야스퍼스의 실존적 상호소통에 기초한 난민문제에 대한 고찰. 주혜연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2 (92):361-38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0 (#1,479,591)

6 months
6 (#891,98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