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rmation of Topographic Maps in French Phenomenology and its Current Status by Type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0:1-34 (2021)
  Copy   BIBTEX

Abstract

오늘날 프랑스현상학은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째 후설의 의식 중심의 선험적 관념론, 둘째 주체와 세계 사이의 조응이 요구되는 동위협력 현상학, 셋째 ‘주어진 바’(소여)를 중시하는 제 3세대의 실재론적 현상학이 그것들이다. 이같이 분류하게 됨은 현상학의 이해에 있어 핑크(20세기 전반)와 파토치카(20세기 후반)에 의해 블렌딩된 후설과 하이데거 사상이 모종의 역할을 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후설현상학을 독창적으로 변주한 막스 셸러의 공감의 현상학이 이바지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스펙트럼을 통해 21세기의 세계 현상학계를 주도하는 프랑스현상학자들의 면면을 밝혀내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Outside Phenomenology of E. Husserl - On the "Passive Intentionality" -. 김영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73-101.
Life-world’ as the Horizon of ‘Eco-phenomenology. 이종훈 - 2010 - Environmental Philosophy 9 (9):177-20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7 (#1,640,750)

6 months
4 (#1,258,34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