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4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eeling of Inferiority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이종주 & 김진숙 - 2023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9:175-231.
    본 연구는 현상학적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열등감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열등감의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본 연구는 지방 1개의 국립대와 2개의 사립대 재학 중인 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면담과 축어록 작성, 개방코딩과 축코딩 및 현상학적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황구조적 기술 차원에서 416개의 개념과 109개의 하위범주 및 41개의 범주를 도출했고, 일반 구조적 기술차원에서 범주를 통합한 결과 11개의 대범주를 도출했다. 또한 자기, 타인, 제3자, 집단 및 과거자신과의 비교속에서 현재의 자기의 열등성의 지각이라는 열등감의 구조를 핵심범주로 하는 열등감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 Ⅱ : focusing on the principles and arguments of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이종주 - 2024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3:1-48.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철학으로서 현상학이 20세기 후반이후 지금까지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으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판 마넨(M. van Manen) 의 질적 연구방법론인 현상학의 원리와 발전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먼저 판 마넨의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2017년과 2018년에 판 마넨과 경험과학자 페일리(J. Paley), 스미스(J. A. Smith)가 현상학적 방법론을 두고 벌인 논쟁 그리고 철학자 자하비(D. Zahavi)가 판 마넨의 현상학적 방법론에 대해 가한 비판을 철학적으로 의미있는 논점을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전체적으로 세 가지 주요 쟁점 - 현상학적 탐구의 대상, 현상학적 탐구방법으로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Dipolar Disorder :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이종주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59-103.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정신질환인 양극성장애에 대한 2000년대 이후 최근 연구들- 행동 활성화 시스템(BAS) 확장모델, 통합적 인지모델, 긍정적 정서장애 모델- 과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서 양극성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병철의 『피로사회』(2010)에서 현대사회의 병리로 문제 삼고 있는 우울증을 양극성 장애의 우울에피소드로 재진단함으로써 양극성 장애가 성과위주의 삶, 자기본위의 삶, 쾌락, 행복추구적 삶, 과시적 활동추구적 삶으로 인한 기분기복과 에너지 소진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현대적 정신장애임을 밝힌다. 두 번째로 양극성 장애에 대한 한병철의 사회병리학적 접근 및 전통적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1
    The Phenomenological-Hermeneutic Reflection on the Methodological Assumptions of the Grounded Theory. 이종주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69-108.
    본 연구는 현재 상담심리학을 포함해서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근거이론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것의 발생과 분기과정에서 드러나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방법론적 전제에 대한 현상학적-해석학적 반성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근거이론의 등장과 분기의 과정과 구조를 대표적인 근거이론가들인 스트라우스-코빈(Strauss-Corbin)의 축코딩의 패러다임 모델을 활용해서 밝혀볼 것이다. 나아가 축코딩의 패러다임으로 밝혀지지 않는 글레이저(Glaser), 스트라우스-코빈 그리고 차마즈(Charmaz)의 대표적인 근거이론들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방법론적 전제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해봄으로써 각각 어떤 이론적 곤경에 처해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밝혀볼 것이다. 끝으로 근거이론이 겪고 있는 이론적 곤경들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