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Zhuxi'

23 found
Order:
  1.  43
    Higher chronic stress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emporal sensitivity but not in subjective duration in healthy young men.Zhuxi Yao, Jianhui Wu, Bin Zhou, Kan Zhang & Liang Zhang - 2015 - Frontiers in Psychology 6:151581.
    Maintaining accurate and precise temporal perception under conditions of stress is important. Studies in animal models and clinic patients have suggested that time perception can change under chronic stress. Little is known, however,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stress and time perception in healthy individuals. Here, a sample of 62 healthy young men completed Cohen’s Perceived Stress Scale (PSS) as a measure of chronic stress levels, while time perception was measured using a temporal bisection task. This task used short (400 (...)
    Direct download (5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6
    Zhuxi's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as a Hermeneutics of Sentiment and Deliberation.Chung Yong Hwan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4:153-17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Zhuxi's Community Ethics viewed from His Interpretaion of Xie ju zhi dao(The Way of Measuring Square). 전병욱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3:187-21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7
    Zhuxi"s Interpretation of Ren(仁). 박성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97-115.
    주자에 따르면 공자는 냇물의 흐름에서 천지조화의 불식(不息, 중단됨이 없음)을 통찰했다. 인간은 이를 본받아 자강불식(自强不息)하여 중단됨이 없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신독(愼獨)해야 한다. 중단이 생기는 까닭은 인욕이 개입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신독할 수 있어야 중단됨이 없게 된다.BR 주자에 따르면 잠깐이라도 인욕이 개입됨이 곧 단절(“물 흐름의 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욕이 완전히 제압된 경지가 중단됨이 없는 불식의 경지이고, 곧 천리유행의 경지이다. 주자가 인을 천리유행 개념으로 설명한 것은, 인의 경지를 “단절됨이 없는”[“不息”] 상태로 이해한 것이고, 중간에 단절됨이 없는 어떤 상태의 지속을 인의 경지로 여겼다는 말이다. 즉 “인욕이 멸절하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7
    Zhuxi’ solution to the relation of Ren(仁) and Zhi(知).Shin JungGeun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1:105-14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5
    An examination of Zhuxi bowdlerizing the text of Can Tong Qi.Qin Weigang - 2004 -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Misc) 3:003.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7.  19
    A dispute on Zhuxi & Yi Whang's theory that (the feeling & thinking) are not aroused yet - A Critique of Prof. Lee Seung Whan‘s theory -.Son Young-Sick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1:1-3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20
    Foundational Research on Zhuxi’s ‘Zhixingbingjin’ Theory.Park Young-jin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1 (68):59-6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9.  11
    Self-Scrutiny and Therapeutic Meaning in Zhuxi’s Theory of Reading. 정병석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249-267.
    주자는 『讀書法』에서 讀書가 心身이나 性命의 문제를 벗어나 단순한 지식탐구로 빠지는 위험에 대해 늘 고도의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주자는 독서 혹은 경전을 읽는 해석 활동자체를 심신수련의 工夫와 실천으로 보고 그것을 치료적 사유를 통하여 비유하고 있다. 세계의 만사만물은 모두 理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가진 理를 하나하나 다 고찰할 수는 없다. 성현의 문장 속에 그 理의 핵심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이치를 발견하려면 성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자는 말한다. 경전은 독자의 마음과 성인의 마음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교량 역할을 한다. 독서를 오로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3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ZhuXi on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김동민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3 (83):127-164.
    朱子는 『춘추』의 大義 파악이 『춘추』 해석의 관건이라고 주장하고, 이를 위한 두 가지 핵심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 『춘추』 大義를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 독법, 둘째, 褒貶의 필법이 지닌 허구성에 대한 비판이다. 먼저 『춘추』의 大義는 역사적 사실 속에 담겨 있기 때문에 그 大義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서는 『춘추』의 기록을 객관적인 역사로 바라보는 독법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주자는 대표적인 『춘추』 해석의 기준으로 활용되던 褒貶의 필법을 강하게 부정하였다. 그는 『춘추』의 大義를 제멋대로 천착하고 왜곡하는 포폄의 필법이 제거되어야만 비로소 『춘추』의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해석방법론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1
    The Trends of Heaven-Human Relation of Zhuxi Learning in 18C - Focused on the Discourse of Huang, Yun Seok.Moon-Yong Kim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53-8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1
    Shù(恕): The Transformation in Neo - Confucianism - Around ZhuXi(朱熹) -.HyangJoon Lee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95-12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26
    Chen, Fengyuan 陳逢源, Integration and Progress: Historical Thinking in ZhuXi’s Four Books with Collected Commentaries 融鑄與進程: 朱熹《四書章句集注》之歷史思維: Taipei 台北: Zhengda Chubanshe 政大出版社, 2013, 352 pages.Lizhu Li - 2015 - Dao: A Journal of Comparative Philosophy 14 (4):597-600.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11
    The problem of moral practice, emotion and self-cultivation in Zhuxi(朱熹).Sukyoon Moon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37-6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5.  7
    Park, Se-dang's understanding of Zhuxi. 허종은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 (43):55-80.
    박세당의 경학사상에 대한 평가는 ‘반주자학’ 혹은 ‘탈성리학’적인 요소라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그렇지 않다는 경우에는 박세당이 주자의 성리학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다는 주장, 박세당의 경학사상은 경학사적인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박세당의 학문을 주자학 혹은 성리학이라는 틀을 통한 이해보다는 박세당 자신의 관점이 무엇이었으며, 그 관점에서 주자가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박세당은 경문의 새로운 이해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주희의 주석을 비판 또는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박세당이 『사변록』을 저술하게 된 동기와 그 속에 나타나 있는 그의 경전 해석의 기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6.  43
    Cai, Zhenfeng 蔡振豐, ed., Interpretations and Development of ZhuXi Studies in East Asia 東亞朱子學的詮釋與發展: Taipei 臺北: National Taiwan University Press 臺灣大學出版中心, 287 pages.Weimin Sun - 2013 - Dao: A Journal of Comparative Philosophy 12 (2):247-251.
  17.  6
    Li li shuang zhang: Zhu Xi li xue si xiang tan wei = Lili shuangzhang: Zhuxi lixue sixiang tanwei.Hui Yin - 2019 - Beijing: Zhonghua shu ju.
    朱熹是宋代理学的集大成者,也是成就斐然的礼学大家。他一生议礼、考礼,对礼的本质、价值、结构、功能进行了具有理学特色的阐述,对古代礼制也悉心潜玩,博考深辨,其见解多为后代礼学家所称引。朱熹礼学是其宏大的 理学体系的重要组成部分,在经学思想史上具有非常重要的地位,对宋元以降的中国乃至整个东亚社会产生了深刻的影响。本书从朱熹的三《礼》学思想入手,从学、理、用三个层面对朱熹礼学进行了系统论述,将文本分析与思 想、社会、政治的互动结合起来,考察了朱熹礼学思想形成的背景、内容及其特点。对困惑学界多年的朱熹晚年思想转型、朱熹为何要编撰《仪礼经传通解》、朱熹如何处理礼学与理学的关系等重要学术问题也作了进一步的探索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8.  5
    Zhu Xi yin yue zhu shu ji si xiang yan jiu: Zhuxi yinyue zhushu ji sixiang yanjiu.Junhui Zheng - 2010 - Beijing: Ren min jiao yu chu ban she.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9.  4
    The theory of cunyang and xingcha in Zhuxi`s philosophy. 이상돈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8 (38):39-62.
    주자는 중화신설의 확립을 통해 渾然한 全體의 未發과 粲然한 條理의 發出의 已發이라는 미발이발의 구도를 정립하고 이에 따라 存養省察이라는 공부론의 핵심을 수립한다. 존양과 성찰은 미발공부와 이발공부인데 心의 動靜으로 구별된 공부 방법이라는 점에서 靜時공부와 動時공부로 규정된다. 또한 존양은 미발에서는 본체가 혼연이 존재하므로 그것을 온전히 보전하는 全體라는 특징을 가지며, 이발에서는 조리가 발동하는 시점이고 지점이므로 그것을 살피는 審幾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중용』에서는 致中과 致和로 표현된다. 여기서 미발의 전체와 치중은 결국 천리를 보존하는 의미이며, 이발의 심기와 치화는 결국 인욕을 막는 의미이다. 즉 存天理와 遏人欲은 존양과 성찰의 실질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0.  7
    Morality of Nature based on Zhuxi's Ren(仁)-theory.Lee Cheon Sung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3:165-18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13
    Zhu Xi Yi xue si xiang yan jiu = ZhuXi yixue sixiang yanjiu.Kebin Zhang - 2015 - Beijing Shi: Ren min chu ban she.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22. Morals, Politics and Theor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Zhuzixue. 김우진 - 2024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2:1-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fucianism's theor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us’s Confucianism, Mencius’s Confucianism, and the Zhuzixue within the framework of ‘differences in moral and political concepts.’ As a method, we adopt a method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in which Confucius, Mencius, and ZhuXi explain and use ‘Ren仁’, and also analyze the causes of those differences. Rather than analyzing the various meanings of Ren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3.  12
    The Problem of Category Misunderstanding in the Theory of Taiji of Ganjae Jeonwu. 주광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5:201-232.
    간재는 화서 이항로·노사 기정진·한주 이진상 등 소위 ‘心理家’들이 마음 속 도덕본성의 직접적인 활동성(太極動靜)을 강조함으로써 마음 그 자체로 부터 합리성과 도덕성을 찾으려(心爲太極) 한다고 비판한다. 그의 비판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극동정’은 태극이 실제로 운동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왜냐하면 태극은 理인데, 리는 無爲하기 때문이다. 둘째, ‘심위태극’ 역시 마음과 본성이 일치된 성인의 경지여야 가능한 이야기일 뿐 기질적 제약이 있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BR 필자의 이해에서 간재의 태극설 자체는 주자의 형이상학 체계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전혀 문제가 없다. 다만 간재 태극설의 관심은 엄밀히 말해 태극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