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4
    Humanism in Prodicus’ Seasons. 이윤철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95-221.
    프로디코스는 자신의 『시기들』이라는 글에서 인간이라면 마땅히 취해야 하는 인간적 삶의 방향을 제안한다. 그 글 안에서 아레테와 카키아라는 두 신적인 존재가 등장하여 헤라클레스에게 각각 자신이 제안하는 삶의 길을 따르라고 요청한다. 아레테가 제안하는 길은 노고 및 땀으로 이루어진 삶인 반면, 카키아가 제안하는 길은 즐거움과 함께 하는 쉬운 삶이며, 둘 모두 궁극적으로는 자신들의 길을 통해 행복(eudaimonia)에 이르리라 약속한다. 그리고 헤라클레스는 아레테의 길을 선택한다. 이러한 내용으로 인해 프로디코스의『시기들』은 인간의 자제력(enkrateia)을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탁월함(덕)에 이를 수 있다는 인본주의적 성격을 담고 있다고 이해되어 왔다. 전통적 신관과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Dissoi Logoi ; A Proto-Model of Pyrrhonism. 이윤철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365-406.
    섹스토스 엠피리코스의 22편 원고 뭉치 끝자락에 일종의 부록처럼 첨부되어 발견된 《이중 논변》은 그 (부분적인) 논증만을 제외하곤 작성 연대나 저자 그리고 구성 의도 등에 대하여 아무런 정보가 전해지지 않는다. 철학사를 해석하는 학자들은, 주제에 대해 상반된 두 입장을 제시하는 《이중 논변》의 논의 방식이 고대의 소피스트들이 지향하던 ‘반박논증(antilogia)’의 형태이기도 하거니와, 지혜와 탁월함의 교육가능성 및 연설 기술과 같은 주제들은 소피스트들의 주된 논의거리였다는 점에 기인하여, 이를 대체로 소피스트식 상대주의 논증의 사례로 여겨왔다. 그러나 《이중 논변》은 자신의 논증 안에서 상대성 및 경험주의적 논변에 적극적으로 기대면서도 논리적 혹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The Concept of Truth in Gorgias ― A Case of Encomium of Helen. 이윤철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28.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upon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uth in Gorgias, a 5th century BC sophist or rhetorician. Traditional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Gorgias weighs on a type of logical validity on the grounds of endoxa in order to achieve persuasion in his speeches. It is doubtless that Gorgias, for instance in Encomium of Helen, emphasising the role of truth in a speech, indeed admits that an active agent must be blamed if the agent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