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0
    A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for Professionals - Proposing a Virtue Based Model -. 목광수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23-148.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윤리 논의에서 결여되어 있는 AI 개발자 윤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AI 개발자 윤리로 덕성(virtue)기반의 모델이 적합함을 보여 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AI는 고정된 과학기술이 아니라 발전노정에 있는 동적이라는 특성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에서 AI를 만든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재귀적 특성이 있는 과학기술이다. 이러한 AI의 특성으로 인해, AI가 초래할 리스크에 대응하려는 AI 윤리는 발전 과정에 따라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실천을 도모하는 동기부여의 구조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 도덕의 형식적 특징인 1인칭, 2인칭, 3인칭 관점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5
    A Critical Examination of Liberal Eugenics. 목광수 - 2015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6:101.
    본 논문의 목적은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비판, 즉 내재적 그리고 외재적 비판이 통합된 비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기존의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비판은 외재적 비판, 즉 자유주의 우생학과 다른 형이상학적 토대에서 제기되는 비판이 주를 이뤘기 때문에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더라도 자유주의 우생학 옹호자들을 설득하기 어려웠고, 자유주의 우생학 자체에 대한 비판에도 취약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내재적 비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논의를 전개하는 동시에 이러한 비판의 대안을 제시하여 외재적 비판의 효과를 강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자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2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 Focusing on Metrics and Principles in Rawls’s A Theory of Justice ‒. 목광수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181-206.
    롤즈(John Rawls)는 『정의론』(1971/1999a)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가장 중요한 기본 재화이며, 자존감 없이는 어떤 것도 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롤즈는 『정의론』에서 태도로서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본 재화인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를 구분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자존감의 사회적 기본 재화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도 제시하지 않았다. 롤즈의 이러한 혼동과 설명 부재로 인해 자존감의 사회적토대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다. 이러한 논란은 롤즈 정의론의 일관성과 정합성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롤즈 정의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9
    Amartya Sen’s Global Justice - Beyond Rawlsian Institutionism. 목광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71-196.
    현대 정의관 논의들에 대해 롤즈(John Rawls)의 『정의론』(1971)이 갖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이러한 영향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국내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정의론이든 전지구적(global) 사회에서의 정의론이든 관계없이 대부분의 현대 정의론이 제도(institution) 중심적 논의들이라는 점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화 시대의 전지구적 정의관으로 센(Amartya Sen)의 자기실현적 접근(self-realization approach)을 통한 비교적 정의관(comparative perspective of justice)이 보완된 형태로 제시된다면, 롤즈에 기반을 둔 기존의 제도 중심적 정의관보다 이론적으로 더 체계적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도 더 효과적임을 보이는 것이다. 정의 실현을 위해서는 제도적 차원에서의 정의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즉 비제도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39
    Climate Change and John Rawls's Intergenerational Justice: Responding to Derek Parfit's Non-Identity Problem. 목광수 - 2016 - Environmental Philosophy 22 (22):31-61.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세대 간 정의론으로 롤즈의 정의로운 저축의 원칙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롤즈의 정의로운 저축의 원칙은 세대 간 정의의 이론적 토대 확립을 어렵게 만드는 파핏의 비동일성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론 자체적으로도 일관성과 정합성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비동일성 문제가 개체주의적인 정체성 의존적 논의들이 겪는 문제인데 반해, 롤즈의 논의는 개체가 아닌 사회의 기본 구조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롤즈의 세대 간 정의는 비동일성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공리주의처럼 미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2
    Risk Analysis and Ethical Response Model for Nanotechnology: Focusing on Environmental Aspects. 목광수 - 2012 - Environmental Philosophy 13 (13):31-64.
    나노과학 낙관론자들은 나노과학이 환경오염을 정화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낸다. 반면에, 나노과학 비관론자들은 나노과학이 환경을 파괴하고 궁극적으로 인류를 멸망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다. 이러한 상반된 전망 아래, 나노과학이 환경 문제에 있어서 축복이 될지, 아니면 재앙이 될지는 나노과학에 대한 윤리적 대응이 얼마나 철저하고 신중하게 준비되는가에 달려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준비의 일환으로 나노과학에 적합한 리스크 논의와 이에 대한 윤리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나노과학은 다른 과학기술보다 불확실성과 무지의 영역이 더 넓을 뿐만 아니라, 그 리스크가 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8
    Searching for a Concept of Personhoo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a Recognition-Based Model -. 목광수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87-21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과 관련된 과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이들 존재의 현실화가 예견되면서 인격(person) 논의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왜냐하면, 앞으로 이들과 인간과의 사회적 관계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법적 또는 도덕적 차원의 문제들에 규범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론의 가장 기초적인 논의가 인격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인격 개념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인격 개념에 대한 기존 해석은, 해당 존재가 합리성이나 쾌고 감수 능력(sentiment)과 같은 특정한 내재적 속성을 보유했는가와 관련되는데, 이러한 기존의 인격 논의는 인간종내에서도 식물인간과 같은 가장자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9
    Theoretical Position of Luciano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김유민 & 목광수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87-107.
    플로리디(Luciano Floridi)는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에 기존 윤리학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음을 지적하며, 인공지능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윤리학으로 “탈(脫)-인간 중심”(de-anthropocentric) 정보 윤리학(ethics of information)을 제안한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플로리디의 이러한 시도가 여전히 인간 중심적(anthropocentric)이라고 비판하거나, 또는 기존 윤리학이 구축해온 질서를 탈피하려는 그의 탈-인간 중심 시도가 성공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인공지능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가치와 실천적 의미가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인간 중심적인 논의와 탈-인간 중심적인 논의 사이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이러한 가치와 의미에 주목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1
    The Role and Meaning of John Rawls"s Self-Respect and Social Bases of Self-Respect. 목광수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25-149.
    롤즈(John Rawls)는 『정의론』(1971)에서 자존감 없이는 어떤 것도 할 만한 가치가 없으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기본 재화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는 롤즈의 다른 사회적 기본 재화들과 달리, 그 내용이 무엇인지가 명시되지 않아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내용이 다른 재화들과 중복된다는 해석에는 대체로 일치하는데, 이러한 해석은 롤즈 논의가 갖는 단순함과 명료함의 미덕을 훼손한다. 이러한 훼손에도 불구하고 롤즈 논의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려면, 이렇게 주장할만한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3
    The Sense and Role of Religion in John Rawls’s Theory of Justice: Focusing on Public Reason. 목광수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70:79-110.
    롤즈(John Rawls) 사후 발견된 「나의 종교에 대하여」(1997)라는 글과 프린스턴 도서관에서 찾은 롤즈의 학부 졸업 논문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1942)가 묶여 2009년 단행본으로 출판되면서 롤즈의 정의론과 종교의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다시금 높아졌다.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롤즈 정의론의 도출과 정당화 과정에서 종교적 포괄적 교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논의가 제시되지 못해 오해와 왜곡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롤즈의 공적 이성(public reason) 논의를 중심으로 정의론에서 종교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롤즈 정의론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