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謙之 문화 철학의 현대 문명 담론적 현재성 - 서구패권적 문명패러다임에 대한 동양의 대안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8 (57):223-264 (2009)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문화 철학’적 극복과 그 대안 모색이라는 차원에서 중국의 ‘송유 이학’이 17∼18세기 근대 유럽 ‘계몽주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수용자의 주체적인 관점에서 프랑스 계몽주의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데카르트 학파, 즉 좌파인 회의론적 진보주의자 ‘베일’과 우파인 호교론적 보수주의자 ‘말브랑슈’의 중국 형상을 그 모델로 하여 연구된 것이다. 이들은 데카르트 철학 그 자체가 안고 있는 ‘혁명성’과 ‘보수성’에 근거하여 이학으로 대표되는 중국의 비종교적 이성주의 문명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과 태도를 취했다. 베일이 찬동하는 입장에서 중국 문명을 이성 세계의 전범으로 파악해 유럽의 수구 문화 비판과 혁신을 위한 강력한 사상적 원군으로 삼았다면, 말브랑슈는 반대하는 입장에서 중국 문명을 위협적인 이단 세계로 규정하여 유럽의 신성 문화 수호를 위한 비판과 공격의 대상으로 여겼다. 이러한 베일과 말브랑슈의 논의와 해석은 계시 신학과 무관한 중국의 자연 이성관을 적극 부각시켜 유럽의 계몽주의 지식인들에게 진보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테면 그것은 프랑스의 백과전서파에게 반향을 일으켜 프랑스의 무신론, 유물론, 혁명 철학으로 화하여 종교의 허위성을 폭로하고 전제 정치를 타도하는 프랑스의 정치 혁명을 이끄는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6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중국 근대 실증주의 사조와 딩원장(丁文江)의 인식론. 한성구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1 (61):237-264.
A Critical Examination of Husserl’s Thoughts on Europe Focusing on Crisis. 김정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40.
A Critical Review on the Previous Studies on Youth's Preference for Popular Songs. 이진희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7):21-4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6 (#1,699,771)

6 months
6 (#882,3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