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본의』의 성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143-169 (2015)
  Copy   BIBTEX

Abstract

주자의 『주역본의』는 의리역인가? 그래서 성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의리를 ‘의미’와 ‘이치’ 즉 ‘규범’이라고 한다면 『주역본의』는 의리역이다. 그러나 그런 정도의 의리역은 단전ㆍ계사전을 비롯하여 왕필과 한강백도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의리역이기 때문에 ‘성리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런데 더 나아가서 『주역본의』를 일방적으로 의리역이라고 할 수는 없다. 주자는 『주역』의 ‘본의’가 의리만은 아니라고 했기 때문이다. 『역경』의 筮詞는 물론이고 「계사전」의 ‘易有太極’이나 ‘天地大衍’에 이르기까지 대량으로 출현하는 河洛說과 先天易說을 단지 의리라고만 규정할 수는 없다. 주자의 역학은 따라서 정이천의 것을 계승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때문에 정주이학에 필적하는 程朱易學도 성립할 수 없고 따라서 주자의 역학이 정이천을 계승했기 때문에 성리적이라고 할 수도 없다. 실제 『주역본의』 주석을 꼼꼼이 들여다보아도 성리적 주석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필자가 동의할 수 있는 성리적 주석은 ①‘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②‘生生之謂易’ ③‘原始反終’ 그리고 ④‘一陰一陽之謂道’ 정도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주자의 역학과 그의 성리학이 무관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주자의 역학은 그의 성리설을 지탱해주는 확고한 기둥이다. 그러나 그것은 몇 개의 개념어나 명제의 차용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주자 역학의 체계 전체가 주자의 성리학적 세계관을 수립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주자 역학의 성리적 성격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6,75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朱子易學評議. 서대원 - 2012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7 (37):25-51.
柳正源 『易解參攷』의 성리학적 해석 특징과 의리역학. 주광호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419-451.
Study of Zhu Xi's Bushi in the Book of Changes. 송인창 & 조기원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2 (62):33-58.
論朱熹對程頤易學的批評. 張忠宏 - 2015 - NTU Philosophical Review 49 (49):107-150.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Hetu-Luoshu and Liu-mu’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주광호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 (46):1-35.
Zhu Xi’s Critique and Acceptance of Traditional I Ching Studies. 송호영 - 2025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10:87-126.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3 (#1,425,932)

6 months
7 (#633,57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