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子 『論語集註』의 수양론적 해석학 ― ‘學’ 개념에 대한 해석에 주목하여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9 (59):59-92 (2009)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朱子 『論語』 주석이 수양론적 해석학에 대한 연구이다. 그동안 유교경전의 해석학에 대해서는 訓詁와 義理라는 두 경향을 중심으로 논의되었고, 주자의 해석학은 이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논자는 ‘義理的 해석’이 만일 원전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주자의 해석학을 단순히 훈고와 의리의 종합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본다. 주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주석 작업과 해석을 구분하였다. 해석은 일차적으로 주석 이전에 이루어진다. 해석은 자신의 지평과 경전의 지평을 융합시켜나가는 작업이다. 그리고 주석은 주석서를 읽는 ‘學者’들에게서도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말하자면 해석은 ‘學者’들에게서도 다시 이루어진다. 주자의 『논어』 주석서 저술 과정은 주자의 해석학적 입장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주자는 訓詁를 통해서 經典의 지평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또 전형적인 義理的 해석을 보여주거나 여러 가능한 義理的 해석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學者’의 수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였다. 이 글에서는 朱子가 해석이 ‘學者’의 손에서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주목하여, 『論語』에서 ‘學’ 개념을 주자가 어떻게 설명하는지 고찰하였다. 주자에 따르면 『論語』의 ‘學’은 경전의 본의가 무엇인지 배우는 것도 아니고, 孔子 철학이 무엇인지 배우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 『論語』 속에 나타난 孔子로부터 이상적인 인격을 기르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는 『論語』에 대한 주석이 讀者인 ‘學者’가 孔子를 잘 배워서 자신의 인격을 수양할 수 있도록 길라잡이의 구실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바로 이런 점에서 주자의 해석학에 담긴 수양론적 성격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Zhu Xi's Interpretation of 'Keji Fuli' in the Analets. 정현정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0 (80):89-114.
『주역본의』의 성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주광호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143-169.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Park, Se-dang's understanding of Zhuxi. 허종은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 (43):55-80.
Kongzi ci dian.Peirong Fu & Shuyuan Yang (eds.) - 2013 - Taibei Shi: Lian jing chu ban shi ye gu fen you xian gong si.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7 (#1,638,362)

6 months
5 (#1,043,57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