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elf-Actualization in Carl Jung’s Archetype Concept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287-316 (2023)
  Copy   BIBTEX

Abstract

본 글은 분석심리학자인 칼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의 개념과 진정한 자기(Self)가 되기 위한 개성화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과 철학적 의미를 알아본다.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과 인간의 정신이 세계 안에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세계가 어느 정도 우리 정신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다루려는 시도에서 발전하였다. 분석심리학은 심혼의 구조와 역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과 무의식, 즉 존재의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으로서 우리의 전체로서의 정신은 하나라는 것을 지지해준다.BR 우리는 각자 자신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아는 오직 의식 안의 내용물만을 알 뿐이며 무의식과 그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이렇듯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에 대한 제한적인 지식일 수밖에 없으며 이조차도 대부분은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좌우된다.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있다는 지식들은 이론적 가설에 근거하기 때문에 절대적이지 못하다. 각각의 자기란 각각의 그 자신을 말하며 ‘그 사람 전체’를 가리키는 의미에서 진정한 의미의 개성과 같은 말이다.BR 진정한 자기(Self)가 되기 위한 개성화 과정이란 단일적 존재가 된다는 의미로서 ‘본래의 자기로 돌아가는 것’이 되는 것이고 이를 ‘자기실현’이라 한다. 자기가 진정한 자기가 되어야 하는 목적은 뚜렷하다. 왜냐하면 자기 스스로를 자각하게 됨으로써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다 나은 인생을 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개성화 즉 자기실현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것은 오로지 개개인의 자기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다른 말로 자기가 모르는 자기의 내면을 깨달아 가는 무의식의 의식화 작업이라 할 수 있다.BR 이를 위해 원형 개념에서의 자기실현이 무엇인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철학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철학적 모색이란 본질적인 부분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철학은 당면하는 문제들을 더욱 명료하게 인지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철학은 삶의 방식을 논의하기보다 지식을 위한 학문으로 바뀌어 가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철학은 인간 정신에 대한 문제와 해결점을 제공하며 실천적관점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는 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4,80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hilpsophical Reflection about Living Together viewed on The Nicomachean Ethics. 전재원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1-19.
Self-Knowledge, Dialogue, and Communes. 이선형 - 201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8:87-119.
Implications of Empathy for the Use of ICT-based Wellness Care in the Aged Society. 김진경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1-25.
Authenticity and narrative Ethics. 이상형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83-212.
The Practicing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Care of the Self' on Stoicism. 조수경 - 2015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3):301-325.
Study on Consciousness and Self : on Sartre’s La Transcendance de l’ego. 김선하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1-28.
Body Memory and Self-identity. 공병혜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8:149-178.

Analytics

Added to PP
2023-09-12

Downloads
16 (#1,288,326)

6 months
6 (#737,12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