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6
    The Humanistic Reflection about Pleasure Viewed on The Nicomachean Ethics. 전재원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305-323.
    근세 이후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눈부신 발달에 힘입어 쾌락을 생리학적으로 이해하거나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심화되어 왔다. 그 결과 쾌락의 인문학적 의미는 거의 망각되고 말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쾌락’의 개념을 해명하면서 쾌락이라는 주제가 현대인에게 던지는 인문학적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보면, 무절제한 사람은 먹고 마시는 활동에 탐닉할 때 먹고 마시는 활동 그 자체를 즐기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활동이 산출해 내는 유쾌한 느낌을 즐긴다. 예를 들어 알코올중독자나 섹스중독자는 음주 활동이나 섹스 활동 그 자체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만취상태에서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4
    Aristotle’s Syllogism and Boethius’s Syllogism. 전재원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19.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yllogisms from both fronts : Aristotle and Boethius. We mainly focus on th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ategorical and hypothetical syllogisms in Aristotle and Boethius. Regarding Aristotle’s works on logic, it is not unusual to claim that Aristotle extensively worked on categorical syllogisms. In Prior Analytics, Aristotle gave proofs for many valid moods. However we cannot find a similar treatment for hypothetical syllogism in his works. Thus, it might be a reason for his students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8
    Ethical Implications of Friendship. 전재원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253-269.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따라가면서 친구사랑의 윤리학적 함의를 읽어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의 중심에는 품성이 탁월한 친구간의 사랑이라는 개념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품성이 탁월한 친구간의 사랑은 각 친구가 행위를 통해서 드러내는 ‘도덕적 가치’(선)에 대한 상호적 사랑이다. 다시 말해서 품성이 탁월한 친구가 서로를 사랑한다는 것은 상대방이 잘 되기를 바라는 것이며 상대방의 탁월한 품성을 사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품성이 탁월한 친구간의 사랑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기 위한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질료적 조건으로는 성별, 연령대, 인구학적 요건, 부, 올바른 교육, 좋은 습관 등이 있다. 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Friendship Through Social Media and Real Friends. 전재원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221-238.
    본 논문의 목적은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형성되는 친구 사랑은 진정한 친구 사랑에 도달할 수 없음을 밝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진정한 친구는 자신의 품성과 유사한 도덕적 가치에 대한 신념 때문에 친구를 사랑한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친구 간의 상호 존중과 상호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온라인에서는 장점만을 선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혹은 서로 다른 정체성을 혼합함으로써 자아를 세련되게 하는 일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고 실제로 일어난다. 특히 대화방처럼 익명인 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렇게 되면 서로의 사랑과 존중을 보장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소셜 커뮤니티 사이트들은 대화 시점, 대화 방법,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1
    Hypothetical Syllogisms in Late Antiquity. 전재원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5:321-338.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하여 초기 페리파토스학파를 거쳐 고대후기에 이르기까지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특정 요소가 발전해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고대 후기에는 가언삼단논법으로 분류된 4개의 논증형식이 있었다. 긍정적 긍정식(modus ponendo ponens), 부정적 부정식(modus tollendo tollens), 긍정적 부정식(modus ponendo tollens), 부정적 긍정식(modus tollendo ponens)이 그것들이다. 우리가 다루게 될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앞에서 제시되었던 4개의 논증형식은 정확하게 어떤 상황에서 생겨났는가? 이 4개의 논증형식이 왜 ‘가언’ 삼단논법이라고 명명되었는가? 어떤 근거에서 이 4개의 논증형식이 타당하게 되는가?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 우리는 이 4개의 논증형식이 『분석론 전서』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9
    Logical Analysis on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Pleasure. 전재원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47-466.
    심리적 쾌락의 반대개념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통’이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고통이 아니라 불쾌(不快)와 무쾌(無快)가 심리적 쾌락의 반대개념임을 논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양극대립이라는 논리적 관계와 쾌락에 무관심한 심리적 상태에 주목한다. 불쾌는 쾌락의 양극대립자이다. 쾌락에 무관심한 심리적 상태인 무쾌는 쾌락의 중립적 대립자이다. 무쾌는 쾌락과 불쾌 사이의 진정한, 그리고 자연적인 경계이다. 무쾌는 독특한 방법으로 쾌락과 불쾌 둘 다에 관련되는 공간을 분할한다. 심리적 사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유쾌한 사건이거나 불쾌한 사건 둘 중의 어느 하나이지만, 쾌락과 불쾌를 구성요소로 하여 생기는 사건은 무쾌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0
    Online Activity and The Shared Life. 전재원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213-229.
    본 논문의 목적은 삶의 공유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의 도움을 받아 온라인에서의 친구들이 삶을 공유하는 것은 불가능함을 밝히는 것이다. 우선 아리스토텔레스가 왜 삶의 공유가 친구의 존재 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 사랑의 토대라고 말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때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삶의 공유에는 바람직한 목적과 도덕적 책무의 공유가 함의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다음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활동의 공유도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삶의 공유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엘더의 논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엘더는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말과 생각을 공유하거나 가치 있는 활동을 공유하는 것, 그리고 비언어적 수단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4
    Online Friends and Aristotle’s Theory of Friendship. 전재원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249-265.
    본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친구 사랑 이론에 비추어 온라인에서의 친구 사랑을 윤리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온라인에서의 친구 사랑이 활동의 공유, 호혜, 즐거움, 호의(好意)로 가득 찰 수도 있다. 하지만 온라인 친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최고의 친구 형식 즉 친구의 존재 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에는 미치지 못한다.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랑은 탁월한 품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친구 사랑의 유일한 형식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온라인 친구는 존재론적으로 열등한 친구 형식임이 분명하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함께 판단하고 함께 유희를 즐기고 서로 아이디어를 교환한다면, 소셜미디어는 인간적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2
    The Ethical Analysis on Online-Friends. 전재원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209-226.
    본 논문의 목적은 친구사랑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에 비추어 온라인에서의 친구사랑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사랑에는 서로서로 연관되는 4개의 핵심적인 차원이 있다. 호혜적 관계, 공감, 자기이해, 삶의 공유가 그것들이다. 온라인 친구들은 매우 용이하게 사회적으로 만족스러운 호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하고 있는 최고수준의 친구, 즉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를 구현하는 데는 미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사랑에서 서로 주고받는 것은 지속성을 결여하는 물품뿐만 아니라 지속성을 지니는 서로에 대한 존경심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8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Friends. 전재원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41-259.
    본 논문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진보가 미래의 친구관계에 가하는 위험한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이때 필자는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는 함께 살아야 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검토하면서 변호할 것이다. 기술적으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이 실제로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관계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술적 매개를 통해서는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관계가 생겨날 수도 없고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관계를 온전하게 유지할 수도 없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필자는 우선 문자기반 테크놀로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7
    The Philpsophical Reflection about Living Together viewed on The Nicomachean Ethics. 전재원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1-19.
    본 논문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9권 제9장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 그 자체의 본질적 구조가 ‘더불어 사는 것’임을 논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친구 및 즐거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주목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 자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지각하는 것이 즐겁다는 것을 특별히 강조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자기 지각이 즐거운 것은 자기 지각을 통해서 삶이 좋은 것으로서 드러나고 우리 자신이 좋음을 가지고 있는 존재자로서 드러난다는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자신이 살아 있다는 것을 지각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삶을 좋고 가치 있는 것으로서 즐기거나 음미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3
    The Validity Rules in Categorical Syllogism and Concept of Distribution. 전재원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249-270.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와 20세기의 아리스토텔레스적 논리학에서 제시된 정언삼단논법의 타당성 규칙을 설명하고 타당성 검사 테크닉을 소개하는 것이다. 필자는 우선 ‘주연 혹은 부주연의 지위에 있는 명사’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필자는 ‘주연의 지위에 있는 명사’라는 개념이 중세 후기의 ‘분포 상정’ 이론에서 등장하는.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7
    Virtue of Thought. 전재원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411-427.
    본 논문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6권을 중심으로 디아노이아의 아레테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디아노이아의 아레테가 로고스를 가지는 혼 부분의 성질이라고 말하고 있다. 필자는 이 말의 의미를, 디아노이아의 아레테가 자리 잡는 논리적 장소가 바로 로고스를 가지는 혼 부분이라고 해석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로고스를 가지는 혼 부분과 관련되는 혼의 여러 성질을 검토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아가 최고의 디아노이아의 아레테임을 인정하면서 프로네시스의 개념을 밝히는데 필요한 정도로만 소피아에 주의를 기울인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의 발견이 핵심 활동인 프로네시스는 더 높은 목표를 수립하기 위하여 소피아에 의존할 수밖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