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A Study on the Will and Problem of Evil : Focusing on Augustine, Kierkegaard, and Jaspers. 김선하 - 2024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1:83-108.
    본 논고는 우리가 악이라고 부를 만한 고통의 문제가 발생하는 그 근원을 인간 내면에서 밝혀내고자 한다. 인간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외부적 환경으로부터 오는 악과는 달리, 인간 스스로 발생시키는 내면의 악이 어디서부터 발로하는지를 살펴보고 하나의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통시적으로 의지의 문제를 철학사에 전면적으로 대두시킨 아우구스티누스의 논의를 시작으로 실존철학자 키에르케고르의 사유를 거쳐 야스퍼스 실존철학에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요컨대, 인간은 무언가를 ‘할 수 있는’kann 존재이고 새로이 시작initium할 수 있는 존재로서 무한한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지만 밖으로 나가지ex-sistere 않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Study on Consciousness and Self : on Sartre’s La Transcendance de l’ego. 김선하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1-28.
    본 논문은 구조주의에 맞서 의식의 자발성을 주장하는 사르트르의 논의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사르트르의 초기 저작 『자아의 초월성』에서 의식과 자아의 문제에 대한 탐구에 집중하면서, 구조주의의 거센 위협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주체에 대한 논의의 흐름을 쇄신하고 있는 그의 실존주의적 사유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칸트의 초월적 주체와 후설현상학의 의식 주체에 대한 그의 비판적 입장을 검토한다. 『존재와 무』에서 사르트르는 단도직입적으로 심리적 결정론은 의식의 자기기만이라고 말한다. 곧 주체적인 선택에 대해 구실과 변명거리를 찾는 모든 행동을 자신의 자유를 부정하는 행동으로 치부한다. 또한 선택에 있어서 수동성을 피력하려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The theory of poetic truth of A. Badiou. 김선하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7-57.
    이 논문은 진리의 문제를 다시 사유하는 바디우의 철학을 소개하면서, 진리의 출현을 정치, 과학, 예술(시), 사랑이라는 네 가지 절차 속에서 생산되는 복수의 과정으로 파악하는 그의 이론 가운데 시에 집중한다. 진리는 백과사전적 체계인 지식의 망을 교란시키면서 출현하여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바디우는 진리 문제에 있어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단지 의미물음만으로 만족하고 있는 듯한 현대 철학자들의 입장을 거부하면서, 진리 범주야말로 모든 가능한 철학의 핵심 범주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바디우는 해석학이 진리 문제보다는 의미 물음에 천착하기 때문에 자신의 철학과는 거리를 둔 소피스트의 입장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