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8
    The Three Concepts of Freedom and Their Realization conditions. 이상형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231-261.
    이 글의 목적은 정치사회적 의미에서의 자유개념에 대한 분석과 그로부터 도출될 수 있 는 현대 사회에 적절한 자유개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사야 벌린이 자유개념을 소극적 자 유와 적극적 자유로 구별한 후 이 두 자유개념은 대립적, 논쟁적 관계로 이해되었다. 벌린 은 간섭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를 옹호하며 적극적 자유의 전체주의적 성격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그에 따르면 적극적 자유개념은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하며 이 때 개인은 더 큰 전체 속에서 자신을 실현할 수 있고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전체주의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극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6
    Authenticity and narrative Ethics. 이상형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83-212.
    이 글의 목적은 진정성을 윤리적 이념으로 규정하고 이 진정성의 가치가 실현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서사윤리의 의미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서양 근대 주요한 윤리적 가치 중 하나는 자율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찰스 테일러는 자율성과 또 다른 형태인 내면 에 대한 충실을 진정성으로 규정하며 이 진정성의 가치가 서양 근대 주요한 윤리적 가치이 며 오늘날 강조되어야 할 윤리적 이상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진정성의 전통이 이미 서양 고대에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 원칙의 도움을 받아 주장 하고자 한다. 푸코에 따르면 서양 고대의 윤리적 원칙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9
    Biological human vs. Ethical human. 이상형 - 201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0 (90):461-490.
    오늘날 사회생물학은 윤리학에 대한 하나의 도전으로 인식되고 있다. 왜냐하면 윌슨에 따르면 사회생물학은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대해 남김없이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명제에 대한 정당화까지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주장에 의하면 인간의 본성은 유전자의 진화과정을 통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것이며, 도덕원칙도 하늘에서 떨어지거나 우리가 가상적으로 고안해 낸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진화의 기반 위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왜냐하면 이기적 유전자는 이타적 행동을 유도하며, 이런 이타적 행동은 도덕적 내용으로 충분히 발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모든 도덕원칙은 이런 생물학적 전제에서부터 도출되어야 하는 것일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3
    Civil Society, what will it do? 이상형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13-245.
    이 논문은 시민사회에서 시민이 그리고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단체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사회는 자발성과 공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자발적 결사체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시장의 논리와 가치가 시민사회의 다른 영역들을 침범하며 국가 관료주의가 시민들을 타율적으로 만들고 정치적 삶에서 시민들이 멀어지면서 시민들은 시민사회에서 자율성과 연대를 잃어버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시민사회에서 시민들이 좋은 삶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할지가 문제시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필자는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먼저 공통체와 사회적 자본 개념을 참조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사적관심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9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5-65.
    본 논문은 감정과 공공성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오늘날 도덕적 추론의 원천으로 작동한다고 인정되고 있다. 이는 칸트의 전통에 반하는 주장으로 흄과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그 기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게서조차 감정이 도덕적 판단의 원천이 될 수 있을지라도 감정이 공공성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해명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감정이 도덕적 추론의 원천일 뿐만 아니라 감정이 공공성을 형성하고 공공성을 작동하는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BR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다양한 감정 중 공공성과 가장 관계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2
    Ethical Human Beings and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al Ethics. 이상형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225-257.
    이 글은 루치아노 플로리디의 정보윤리를 해명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정보사회에 적절한 윤리적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플로리디의 정보철학에 기반한 정보윤리는 오늘날 정보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왜냐하면 정보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기존의 윤리이론들로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늘날 비인간존재로서의 행위자는 환경과 세계에 도덕적 영향을 끼치며 인간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윤리적 세계를 구성한다. 이런 상황에서 덕 윤리나 의무주의, 공리주의 등은 여러 가지 한계에 직면함으로써 새로운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플로리디는 존재 중심적, 피동자 지향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6
    Multicultur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이상형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55-283.
    이 글의 목적은 현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정당성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결론으로 새 로운 이론적 토대에 다문화주의를 정초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다문화주의 옹 호자들은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 맥락에서 다문화주의를 전개, 변용, 발전시켜 왔지만 오 늘날 이런 사상적 흐름은 이론적 측면에서나 현실의 다양한 맥락에서 비판받고 그 유용성 이 의심받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다문화주의가 소수자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의 실질적 평등을 위한 대안적 또는 보완적 이론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영역 에서 다문화주의 실패가 선언되고 있다. 이런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에 직면하여 필자는 이런 원인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3
    Methodological Debates in Biomedical Ethics and Narrative Ethics. 이상형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19-139.
    이 논문의 목적은 생명의료윤리학에서 도덕적 판단과 행동을 정당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적절한 방법론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이 하향식 방법론, 상향식 방법론, 정합론 간에 존재해 왔었다. 필자는 비첨과 췰드리스의 주장에 어느정도 동의하면서 정합론적 방법론을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정당화하고자 한다. 그러나 생명의료윤리의 가장 전형적인 장소인 임상현장에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고려할 때 정합론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원칙주의와 함께 서사윤리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의사가 고려할 수 있는 도덕원칙인 선행/악행금지의 원칙은 서사윤리적 접근법을 취할 때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간섭주의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환자가 고려할 수 있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9
    The Crisis, Change, and Justification of Family Norms. 이상형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31-253.
    오늘날 가족의 개념과 위상은 근대화의 과정에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가족의 규범이 어떤 모순적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먼저 서구 근대화의 물결에 따라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강조되고 이것이 가족관계에도 침투하고 있다. 이는 사회구성의 기본단위인 가족에도 가족 구성원을 독립적 인간으로 또는 하나의 자유로운 개인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요구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에게도 전통 사회에서의 위계질서가 아니라 수평적 관계가 강조된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 따라 개인의 자유와 독립을 강조하는 것은 개인을 집단과 세계에 맞선 개별자, 단독자로 만들고 이는 필연적으로 불안과 자유의 무게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5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이상형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60:27-55.
    오늘날 가족의 형태가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여 가족의 해체까지 이야기되고 있다. 가족의 형태가 변화되거나 해체되는 이유는 다양할 것이다.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개인주의가 심화되며 이에 따라 가족에 부과되는 경제적 책임을 가족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가족이 맡아하던 다양한 기능들이 사회나 시장, 국가로 넘어가고 가족에게는 재생산이나 소비의 기능만이 남게 되었다. 그렇다면 가족을 형성하고 가족관계의 주요한 윤리적 가치인 사랑도 이제 사라지는 것일까? 본 논문은 가족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사랑과 결혼, 그리고 가족을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변화하는 가족제도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3
    The Politics of friendship. 이상형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9 (79):333-358.
    자유주의가 강조하는 공적영역에서의 보편적 원칙인 정의와 사적영역에서 주요한 가치인 관용이 오늘날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정의는 형식화되어 실질적인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지 못하며 사적인 영역을 지배하는 가치인 관용은 힘의 관계에 의해 지배되곤 한다.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지만 일상생활의 사소한 차이를 가진 타인은 관용으로 인정할 수 있지만 다원주의가 심화되는 오늘날 기본적 차이, 즉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치인 종교, 문화, 생활방식의 차이를 가진 타인을 만날 때 중심 가치는 이들을 길들이기 시작한다. 한 사회가 안정적이고 통합적이기 위해 중심가치가 이질적인 경우 관용은 정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즉 관용은 기존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The Value and Love in Husserl’s Ethics. 이상형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09-232.
    후설의 현상학은 인식론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식하는 자아의 구조를 분석하 면서 후설은 초월론적 자아를 시간성에서 분석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 자아가 세계의미의 침전물로, 그리고 본능, 감정, 의지, 이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아의식은 인식뿐만 아니라 실천을 행하는 것으로, 세계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뿐만 아니 라 가치를 구성하는 존재로 해명된다. 왜냐하면 의식의 지향성은 의미뿐만 아니라 가치를 자신의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아는 가치를 삶의 목적으로 하며 가치는 실천영 역에서 동기부여하는 힘을 의미하게 된다. 후설은 현상학에서 이런 자아의 윤리적 의미를 탐구하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