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taphysical Foundation of Moral in Schopenhauer and Feuerbach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77-95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에 대한 포이어바흐의 비판을 중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 두 철학자의 윤리학과 형이상학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두 철학자가 윤리학에서 신체의 형이상학적 의미를 강조한다는 점이 밝혀진다.BR 포이어바흐는 쇼펜하우어가 관념론자이며 도덕에서 행복을 배제하고 추상적인 의지를 주장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비판은 쇼펜하우어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초래된 것이다. 포이어바흐는 신체와 감각에 근거하는 형이상학을 주장하므로 그의 비판은 경험주의적 비판과 달리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에 적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형이상학은 신체와 의지의 동일성에 근거하는 쇼펜하우어의 의지형이상학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모든 존재의 동일성이라는 형이상학을 받아들이며, 신체는 이러한 동일성을 파악하게 하는 매개라는 점에서 그 형이상학적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이로써 이 두 철학자는 자연과학에서 출발하여 윤리학에 이르는, 일원론적인 보편학문을 주장하는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cience and Metaphysics of Schopenhauer. 김미영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21-39.
Nietzsche as a Schopenhauerian. 이서규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55-280.
A Study on the Form of Adorno’s Theory of Moral.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39-165.
A Study on Schopenhauer’s Animal-Ethics. 이서규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93-215.
A Theoretical Study on the Pure Cognition of Schopenhauer. 이동건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93-229.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7 (#1,640,750)

6 months
7 (#722,17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