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ducational Theses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Education in Gilles Deleuze's Philosophy : Focusing on the Overthrow of Platonism

EPOCH AND PHILOSOPHY 35 (4):59-94 (2024)
  Copy   BIBTEX

Abstract

들뢰즈 철학에서 플라톤주의의 전복은 그의 철학적 지표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정작 이 유명한 명제 뒤에 숨겨진 철학적 의미들은 종종 간과되곤 한다. 실제로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에서 이 전복이 아이러니하게도 플라톤적 성격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심지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기까지 한 이 역설적 표현은 들뢰즈가 자신의 교육철학을 ‘새로운 메논’으로 규정한 것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전복’은 뒤집어서 무너뜨리는 타도와 배제의 의미도 있지만 방향을 거꾸로 전환하는 전위의 의미도 함축한다. 따라서 들뢰즈에게 ‘전복’의 의미는 플라톤 철학의 핵심 구조를 전위하고 그 개념들을 새롭게 재편하는 비판적 수용의 맥락에서 적극적으로 해명될 필요가 있다.본 연구는 플라톤 철학을 전유하는 들뢰즈의 반어적 표현에 주목해서, 그의 교육철학적 테제들을 플라톤 철학과의 비판적인 구도 속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히 들뢰즈 철학을 플라톤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플라톤 철학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적 논증을 검토하고 그 정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차이의 철학이 플라톤 철학에 대한 비판적 독해 속에서 어떻게 정립되는지를 역추적하는 한편 이와 연계하여 들뢰즈 교육철학의 목적과 의미들을 해명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교육의 문제가 왜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되고 반성되어야 하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들뢰즈 교육철학적 함의들은 플라톤 철학을 새롭게 환기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현 교육에 반성적 성찰과 새로운 대안들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Deleuze and the Foundation of the Metaphysics. 주재형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39-68.
Bergson: Pedagogy of De-formation.주재형 ) - 2019 - Modern Philosophy 14:87-115.
Lovecraft and Philosophy : Life as Anti-Cosmos. 주재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73-118.
Pure form of time in the philosophy of Kant and Deleuze. 변예은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3 (93):113-142.
Adorno’s Moral Philosophy - Politics: from Rule of law to Rule of Moral -. 이병탁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29-253.
A Study on Environmental Philosophy of Plato as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조흥만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237-261.
On the mode of existence of Bergson’s pure memory. 주재형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151.

Analytics

Added to PP
2025-01-22

Downloads
0

6 months
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