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vereignty of ‘We, the People of Korea’ and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205 (2016)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우리 헌법 전문에 등장하는 ‘대한국민’의 주권적 의의를 헌법제정권력론 및 한나 아렌트의 논의에 비추어 살펴보고, 북한헌법에서 ‘조선인민’에 부여된 비주권적 위상을 조명한 다음, 통일헌법 제정의 주체가 될 하나된 국민의 주권적 면모를 전망하고자 한다. 우리 헌법 전문에서 대한국민은 스스로의 헌법제개정행위를 서술함으로써 헌법 본문에 대해 정당성을 보장한다. 헌법제정은 헌법제정권력이 단순한 사실적 힘의 차원을 벗어나 일정한 가치를 지향할 때 성립하며, 헌법제정행위는 그 자체가 공적 자유의 행사이다. 북한헌법의 특징은 주권적 국민의 실종과 역사적 맥락의 누락이다. 북한헌법에서 ‘조선인민’은 국가 주도적인 통제와 관리의 피동적인 객체로 설정된다. 통일헌법의 제정은 남북한 두 국민이 하나 된 국민이 되어 행하는 주권적 행위가 될 것이고, 특히 북한 주민들에게는 그 본래적 주권성과 역사성을 회복하여 보편적 헌법가치와 법원리의 구현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정순미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171-190.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Critical Review of Unification Bonanza Discourse. 변종헌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123-150.
A Study on the Confucian Natural Legal Ideology Embodi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문효남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6 (56):47-80.
Bodhisattva, Sŏnbi and Citizen of our Times. 박병기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5):343-36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1,583,782)

6 months
6 (#873,39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