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 Willber's Integral philosophy acceptance of Vedānta philosophy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7 (47):229-257 (2016)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윌버 철학의 핵심인 의식의 스펙트럼 이론과 베단따 철학의 오장설과 세 가지 신체 이론을 대비하여, 윌버의 통합철학이 베단따 철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다룬다. 먼저 의식의 스펙트럼 이론은 의식의 구조를 물질에서 몸 · 마음 · 영혼 · 영에 이르는 인간이 본유하는 광대한 의식의 전개를 보여준다. 이것은 베단따 철학의 무지(avidyā)로 인한 이원성, 분별의 의식 상태들과 실재 차원의 순수의식을 결합한 의식의 체계 분석과 동일하다. 윌버는 경계의 세계에서 무경계의 세계로의 이행을 자신의 철학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역시 베단따 철학이 무지의 세계를 벗어나 아뜨만을 각성할 것을 추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양자 간의 동일성을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윌버의 의식의 스펙트럼의 다섯 가지 심리적 유형과 베단따의 오장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더욱 분명해 진다. ① 페르소나와 그림자의 수준에서부터 ~ ⑤ 합일의식(unity, 우주) 수준까지의 인간 의식의 계층적 분석에 베단따의 오장설의 방법론을 대입 적용해 봄으로써 가능하다. 의식의 계층적 분석이 주는 메시지는 베단따가 다섯 가지 몸 각각은 그들의 본성인 아뜨만과 다르다는 점진적 단계적 각성을 요구하는 방법과 같다. 한편 의식의 스펙트럼 이론을 보강한 의식의 계층적 발달 이론은 베단따의 세 가지 신체 이론과 네 가지 의식 상태 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윌버는 의식의 9 단계의 발달 과정에 세 가지 신체 이론을 적용했다. 특히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는 의식의 발달 과정은 베단따의 전통설인 세 가지 신체설과 네 가지 의식 상태 이론과 대응된다. 결론적으로 윌버의 통합철학은 베단따의 철학적 체계에 그 배경을 두고 성립된 것이 분명하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tudy on Consciousness and Self : on Sartre’s La Transcendance de l’ego. 김선하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1-28.
Self-awareness(turīya) through Perception(praktyakṣa) and Non-perception(anupalabdhi). 신상림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91-322.
Sartre and a reef of passivity - Focusing on his early phenomenological writings. 변광배 - 2019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2:129-168.
Phenomenological Clarification of the Origin of Seed in Yusik Buddhism. 이남인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2:65-91.
A study on C.G Jung’s concept of unconsciousness. 진숙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345-366.
A Study on Signification of Suffering.임병식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67-98.
The Unconscious : The Difference between G. Freud and Jacques Lacan. 황순향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61-183.
Bentham’s Concept of Unconsciousness. 김원철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61:37-59.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6 (#1,698,044)

6 months
5 (#1,053,84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