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gelian Transfiguration of Taste’s Antinomy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75-98 (2017)
  Copy   BIBTEX

Abstract

취미의 이율배반을 헤겔적으로 변용함으로써 칸트 미학이 현대 예술과 관련하여 지닐 수 있는 의미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창작을 하는 주체인 ‘천재’를 통해 현시되는 ‘미감적 이념’이 ‘취미판단’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요구되는 ‘미감적 이념’과 다르지 않으며,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을 매개로 창작과 감상의 활동은 상호 공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둘째, ‘어떤 것이 예술인가’ 여부를 판정할 때 발생하는 ‘예술의 이율배반’에서 논쟁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필요한 것은 ‘예술계’이며, 이 점에서 칸트의 미감적 이념과 단토의 예술계는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셋째, 선험성을 지니는 미감적 이념은 실질적으로 논쟁을 수행하는 주체들이 처한 역사적 조건하에서 현실화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칸트의 미학이 적용 가능한 의미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9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mith's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Related with the Thoughts of Hume and Kant. 변영진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7):175-202.
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이원석 & 김태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The Problem of Lying in Kant’s Ethics. 이두연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7:165-183.
Thomas Aquinas: Legal Ideas of Ends and Proportion. 박준석 - 2018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21 (3):33-52.
A study on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language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03-12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1,588,140)

6 months
4 (#1,272,37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