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human difficulties and the relationship of things in Zhuangzi thought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5 (25):333-354 (2009)
  Copy   BIBTEX

Abstract

장자 철학에서 인간이 만물 간에 苦境에 처하게 되는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보았다. 한 가지는 인간과 만물 간에는 본래 가치상 차이가 없으나 인간 마음속에 「成心」이 생겨 인간이 우주의 진상을 바르게 인식 하지 못함으로써 서로간의 옮고 그름의 시비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成心」은 인간의 마음을 安寧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하여, 인간이 만물 간에 苦境에 처하게 된 이유 중의 하나이다. 다른 한 가지는, 장자 철학에서는 개개인의 마음이 「不動之心」한 원시신화적인 「至德之世」를 이상적인 세계로 여겼는데, 사회정치적인 원인에 의해 「仁義道德」을 제창하여 인간의 마음 상태를 「攖人之心」으로 조성하였으니, 이는 인간과 만물의 이상적인 관계를 해치게 되는 원인이면서도 인간과 만물 간에 苦境에 처하게 된 이유 중에 하나이다. 인간이 이런 苦境의 처지를 벗어나 만물과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장자 철학에서는 인간이 사물을 인식할 때, 사물의 본질 그 자체로만 인식해야 만물 간 가치상의 차이가 있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고, 또한 장자는 「萬物為一」의 관념을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장자 철학에서 「萬物為一」의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한 가지는 만물을 인식함에 있어서 모든 사물 간에 가치적인 차이를 두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객관적 존재로서의 「萬物為一」이다. 객관적 존재로서의 「萬物為一」에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萬物為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인간과 만물 간의 「性」의 同然性과 만물을 생성하고 변화를 추동하는 추동자의 동일성, 또 한 가지는 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에서의 「萬物為 一」이다. 그러므로 우리 인간들이 사물의 본질을 정확히 인식하고 만물을 대할 때, 만물 간에 진정으로 「萬物為一」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6,9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Yi Ik's explanation of the nature of human and matter. 허종은 - 200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6 (56):43-73.
A thinking structure of Zhongyong on ‘consistency of Heaven and Human being’. 최정묵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0 (50):175-194.
A Study on the Transcendentalism of Life and Death in Chuang-tzu philosophy. 이창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259-288.
Gwon Sangha’s Theory of Mind-Nature. 송종화 - 2012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5 (35):73-108.
Theory of Da-Zhi. 권오향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8 (68):159-187.
The Problem of Xing and Qizhi in Cheng Yi's Philosophy. 박승원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7-32.
A study on the Mind in Hu Hung’s Philosophy. 연재흠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5 (55):247-27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7 (#1,707,903)

6 months
3 (#1,189,75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