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value and recognitions of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East-West philosophy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0 (50):5-25 (2008)
  Copy   BIBTEX

Abstract

서양의 주류 세계관은 주객 이분법을 반영하고 있고, 전통 생물학은 이런 방법론으로 생명체를 기술하였다. 그런데 생명체를 그 물리적 환경과 연결해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됨으로써 생태학이란 새 학문이 출현했다. 생태학은 초기에 자연의 경제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고, 중기 이후에는 생태계 안정성에 비중을 두었지만, 가장 최근에는 진화 생태학이나 카오스 생태학의 출현으로 인해 자연의 혼동 양태에 주목하고 있다. 이렇게 생태학은 그 정체성을 아직 명료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있고, 그럼으로써 생태학자들도 여전히 자연을 보는 기계론적 자연관과 유기체 자연관의 해묵은 논쟁에 빠져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생태학자들이 분석적 인식의 유용성 때문에 존재론적 분리주의의 덫에 빠져 있다고 본다. 필자는 생태학이 유기적 세계관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생태학이 제공하는 자연에 대한 기술은 환경위기 시대에 새로운 유형의 생태적 가치를 분별하도록 조성했다. 서양철학에 근거한 생태윤리는 주로 자연에서 도구적 가치와 대립하는 내재적 가치를 찾아내었다. 동양사상은 인간과 자연의 생명적 연관성을 잘 드러냄으로써 생태학적 세계관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도 동양의 생명사상이 싹트고 있다. 장회익은 지구 더하기 태양을 살아있는 유기체, 즉 온생명의 실체로 파악하고 있고, 김지하는 동학에 기대어 새로운 생명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필자는 문화와 자연의 유기적 연계성을 반영하는 온가치를 생태적 가치의 핵심 유형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인류 사회가 인도적 생태주의의 지평으로 들어서야 한다고 보았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9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induism, the Views of Nature and Ecological Ethics. 한면희 - 2010 - Environmental Philosophy 9 (9):145-176.
주희철학에서 ‘환경윤리’의 이론 정립 가능성과 환경윤리교육. 권상우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145-171.
The Structure of the Thinking of Ancient China seeing through the Theory of Names and Reality. 윤무학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25-44.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강기호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41-61.
A Contemporary Meaning of Chu Hsi's Concept of Goodness Implied in the Viewpoint of Nature. 김철호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93-117.
A Criticism of Immoralistic Interpretation of Nietzsche. 전경진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7:23-52.
Necessity of ‘Eco Legal Person’ System for Ecological Democracy. 진희종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11-127.
A Study on the Meaning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Ethics. 변순용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5):167-186.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 of Cyber Space and Lévy’s Collective Intelligence. 김윤재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6 (76):301-323.
DMZ and the Philosophy of Ecological Peace. 한면희 - 2010 - Environmental Philosophy 10 (10):45-7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6

Downloads
12 (#1,379,631)

6 months
6 (#891,98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