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An analysis on Epicurus's. 정진우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 (75):303-322.
    에피쿠로스는 에서 그의 가르침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진술했다. 그는 행복하기 위해서는 철학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행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철학을 해야 하는 긴급성과 유용성에 대해서, 그리고 쾌락을 추구하는 삶에 대해서 진술하고 있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몸과 마음의 고통과 두려움이라는 부정적 정념들 때문이다. 이들 부정적 정념들의 원인은 욕망과 무지이다. 따라서 그의 가르침은 무지의 원인과 욕망에 대해 분석과 행복해지는 실천적 방법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가르침이 적극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키레네학파와 다른 점은 일시적인 감각적 쾌락을 끊임없이 추구하기 보다는 쾌락이 근거하는 욕망에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A legislation and reign in civic society: Rousseau's general will and autonomy -A crisis of democracy and Rousseau's general will-. 정진우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7 (67):479-498.
    민주주의(democracy)의 어원은 그리스어 demokratia로 demos(인민)와 kratia(통치/권력)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민주주의의 어원적 의미는 정체의 구성형태와 통치, 그리고 권력을 정당화하는 형태와 권력행사의 양상을 가리킨다. 하지만 현대의 정치담론에서 민주주의라는 용어는 통치기술과 더 자주 연관되는데, 이 때 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의 형태를 갖는다. 오늘날 인민의 삶과 관련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FTA같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현안들에 대해 국민의 인지적 한계로 말미암아 국민은 자기-입법과 자기-통치의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시민은 시간적으로나 능력에 있어서도 이들 분야에 대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대의제에서 다수결 제도는 공리주의의 원리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도덕적 정당성에 기초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0
    Engineering Ethics in accreditation system for engineering education, what and how to educate? 정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3 (43):175-193.
    이 논문은 현재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공학인증을 받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 전문교양으로서 공학윤리가 어떻게 그 역할을 해야 하는 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공학인증 제도가 추구하는 것은 양질의 엔지니어를 교육하는 것이다. 양질의 엔지니어란 첫째, 실무 능력. 둘째, 창의성. 셋째, 팀워크 능력. 넷째,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공학인증 제도가 추구하는 양질의 엔지니어를 교육하는 데 ‘공학윤리’과목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은 창의성, 팀워크 능력,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뿐만 아니라, 공공에 갖는 책임을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윤리의식을 형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5
    Social Cognition and Morality - Mirror Neuron and Empathy as a Necessary Condition of Morality -. 정진우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3 (null):175-197.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와 기술의 진보는 사회적 학습 능력에 근거한다. 사회적 학습과 능숙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통찰하는 능력에 있다. 인간은 다른 사람의 내면을 이해하는데 탁월하다. 우리가 드라마를 볼 때 이러한 사실을 경험한다. 등장인물에게 일어나는 사건이나 그의 행동을 보는 것만으로 그의 정서와 행동의 동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최근에 거울 신경세포가 다른 사람의 내면을 이해하는 신경생물학적 근거임이 밝혀졌다. 거울 신경세포를 발견함에 따라, 우리는 방대한 영역의 공감현상들(사회적 정서, 사회적 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공감(감정이입)은 이타적 행동과 도덕원리에 영향을 끼친다. 감정이입이란 타자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