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Viewpoint on Human Rights: Its 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김창근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6):203-238.
    이 논문의 목적은 ‘인권의 보편성’에 관한 세 가지 논의에 기초하여, 북한의 ‘우리식 인권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통일교육은 북한 인권문제를 둘러싼 논리적 대립이나 이념적 갈등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인권의 보편성’에 대한 진지한 이해에 기반한 함의가 통일교육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인권의 보편성이 지닌 보편주의와 역사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이 내세우는 인권관의 오류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인권개선을 위한 북한의 자구적인 노력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우리는 지속적으로 북한 인권문제에 관심을 갖고 지혜롭게 관여해 가야 한다. 통일교육을 통해 북한 (...)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A Study on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in Multiculturalism. 김창근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243-268.
    이 논문은 다문화주의에서 문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평등주의적 자유주의, ‘문화 없는 다문화주의’의 논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문화 있는’ 다문화주의를 위해 세 가지를 제언했다. 첫째, 우리는 개인 및 집단의 선호와 표현을 포함한 기본적 자유를 보호하고 보장하는 것에 민감해야 한다. 합당한 자율성 중시, 소수집단들에게 자신들의 사회·정치적 제도를 가질 자유 보장, 문화를 보는 가치중립성의 원칙 등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는 소수집단의 문화적 특수성에 주목하면서 개인 및 집단이 갖는 권리의 평등성을 무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치·사회부문에 문화적으로 참여할 소수집단의 권리 보장, 다수집단과 소수집단간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3
    Citizenship for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ism. 김창근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3):21-50.
    다문화주의는 다문화 공존의 이상을 추구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다문화 공존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점은 다문화주의가 처한 이론적 논쟁과 논리적 도전의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문화주의는 일상에서 정치화되기 십상이며, 자유주의란 명분으로 동화주의에 빠지거나 사회통합을 위해 또다른 국민국가 형성에 동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문화라는 이름으로 또다른 경계(境界)를 만들거나 사회적 연대를 침해할 수도 있다. 다문화주의는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은폐하거나 개인성을 침해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다문화주의가 규범적·당위적으로 수용되어서 다문화 공존의 교육적 원천으로 전제(前提)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보다는 현대 사회에서 다문화주의가 갖는 이론적·논리적 복합성과 정치성의 함의를 먼저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23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Space Perspectives on the Policy of Social Integr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김창근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8):199-226.
    이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공간론이 사회통합형 북한이탈주민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데 있다. 다문화 공간론은 기본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삶과 이야기에 주목하도록 하고 있다. 다문화 공간을 영역, 장소, 스케일, 네트워크로 구분하여접근하는 TPSN의 인식론은 세 가지를 시사하고 있다. 첫째는 장소감의 고양이다. 시민교육 체계와 시설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다문화 시민으로 양성하고, 북한이탈주민을 보는 우리 사회 다수자의 인식을 개선해가며,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그들의 삶과 이야기에 주목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는 건강한 영역화의 확장이다.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활동 공간과 체계가이루어지도록 하고, 북한이탈주민이 영역화의 주체가 되도록 인정하고 맡기며, 북한이탈주민 집단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5
    Multiculturalism and the Unification Theory of the Korean Peninsula. 김창근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8):251-272.
    이 논문은 다문화 시대의 한반도 통일론이 제기하는 세 가지 쟁점을 추출하고, 다문화주의가 시사하는 한반도 통일론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세 가지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시대의 통일의 의미의 확대이다. 통일은 새로운 사회구성원들과 함께 한국 사회의 정체성을 새롭게 회복하고 분단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는 수단이자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반도 통일의 주체의 확장이다. 통일은 다중적 주체들의 참여에 의해 함께 만들어 가야 하는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민족공동체의 범주의 재해석이다. 다문화 시대의 민족의 관념은 세계차원의 문제와도 결합하여 정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추구해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0
    North Korean Ethical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Communist Ethics: Focus on the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김창근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6):75-97.
    이 논문은 북한의 도덕규범을 소학교용「공산주의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도덕규범의 실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공산주의 도덕」교과서에 기술된 사례를 근거로 통일교육의 내용적 기초를 확대하는 의미가 있다. 북한의 「공산주의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도덕규범은 7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① 수령·당·인민에 대한 충실성, ② 사회생활에서의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 ③ 사회공동생활을 위한 공민의 도덕, ④ 사회주의 우월성, ⑤ 조국애, ⑥ 반제·반미·반일·반한, ⑦ 개인생활 도덕규범 등이다. 이러한 규범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교조주의적 성격, 집단주의적 성격, 정치사상교양의 성격 등이었으며, 이러한 특징은 한 마디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2
    On the Role of Local Goverance for Community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김창근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1):197-225.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지역사회통합 제고를 위한 지역거버넌스의 역할을 찾아보는데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실생활하면서 남한 사회통합의 의미가 부각되는 일선이 바로 지역사회라는 점에서 이 글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지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은 주체성과 호혜성을 지닌 사회통합의 행위자이다. 지역사회 정착 지원체계 및 지역거버넌스의 접근은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독려하는 차원을 넘어 남한사회의 우월성에 기반한 일종의 교환·거래관계로 귀결되지 않아야 한다. 지역거버넌스는 ① 광역시·도 지역협의회의 역할과 구성 확대 발전, ②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 기간별 구분 및 범주별 통합관리, ③ 경제적·사회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확장, ④ 지역복지관내 북한이탈주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1
    Study on Grounds of the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Multicultural Era. 김창근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9):197-233.
    다문화시대의 사회적응은 이주사회와 이주민이 쌍방향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적응해가는 과정이며, 사회통합은 다양성 속의 통합성을 이루어 동등한 시민적 정체성을 갖게된 상태이다. 그간의 이탈주민정책은 초기의 생활보호 및 정착지원에 초점을 두면 이탈주민이 민족동질성에 기초해 우리 사회에 잘 정착하리라는 기대를 깔고 있었다. 민간보다는 정부에 대한 의존이 컸고, 통합보다는 적응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며, 시민정체성 보다는 민족정체성에 기반했다. 하지만, 이탈주민은 남한 주민과 대등한 시민적 위치에서 상호관계하면서, 상호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사회적응이자 사회통합으로 보았다. 다문화시대 이탈주민정책은 일방주의적 기대 혹은 동화주의적 접근에 관한 부분을 개선하고 쌍방향적인 통합주의적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일상에서부터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8
    The Implications of European Integration in terms of Perceptions of the Korean Unification Process. 김창근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0):309-335.
    이 글은 유럽의 통합과정이 한반도 통일과정 인식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통합과 통일의 개념과 역학의 차이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유럽통합의 목표, 방향, 접근, 지속 등의 차원으로 좁혀서 보면, 한반도 통일과정 인식에 주는 일정한 시사점이 있었다. 흡수통일을 배제한 국가연합제는 이념과 체제가 다른 남북한이 우선 접근할 수 있는 현실적인 통합목표이다. 남북한은 작은 쟁점에서부터 구심점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호 합의된 분야별 제도들을 서로의 사회·경제적, 정치적 삶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확장해 가야 한다. 협상과 협력, 하부구조와 제도 마련 등을 위한 정부간 역할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남북한은 정부간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3
    The Principles and Tasks of Interculturalism: Alternative or Complement of Multiculturalism? 김창근 - 2015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3):183-214.
    이 논문은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 모델로서 갖는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를 분석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는 실패 혹은 한계에 처했고, 그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가 중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상호문화주의가 다문화주의를 대체했다는 시각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양자의 역할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상호문화주의는 여러 문화의 단순한 공존을 넘어 문화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어내려는 이념이다. 문화간 의사소통과 상호관계가 핵심이다. 상호주관성에 기반하여 공유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고 서로에게 문화적 다양성이 힘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9
    The Tasks of NGOs in Development Assistance to North Korea. 김창근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7):323-348.
    이 논문은 대북 개발지원을 위한 국내 민간단체의 역할과 과제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북 개발지원은 북한에 인도주의적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넘어 북한의 경제적․사회적 개발과 역량 강화를 통해 북한의 질적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민간단체의 대북지원은 그동안 남북관계의 상황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북한 교류 방식의 하나로 분명히 역할해 왔다. 민간단체들은 대북 개발지원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강한 동기 의식과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실제 사업내용도 개발지원의 방식으로 상당히 전환하고 있다. 향후 대북 개발지원의 발전을 위해 민간단체들은 다음의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민간단체들은 개발지원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5
    Unification Nationalism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김창근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137-162.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는 양자택일의 가치가 아니다. 분단의 현실과 다문화 추세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두 가치의 조화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조화론적 관점에서 다문화 시대의 통일 이념으로서 ‘통일 민족주의’의 역할을 새롭게 설정해 보고, 그에 따른 통일교육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다문화 시대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역할은 다음처럼 세 가지로 설정했다. 민족주의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관점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다문화주의는 자유주의의 확장과 동시에 인권에 기반한 새로운 휴머니즘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두 가치는 정치단위로서의 새로운 시민 공동체를 지향할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