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동일성[同]”과 “배타적 차별성[不和]”의 문맥에서 본 맹자(孟子) 철학의 구조 ―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연대를 향하여 ―. 김상희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1 (31):123-154.
    맹자철학은 중원을 비롯한 고대 중국이 춘추시기에서 전국시기로 접어들면서, 중앙집권적국가의 통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탄생하였다. 전국시대는 국도 중심의 사방(四方) 경계적 질서가 ‘천하’적 국가라는 거대한 틀로 틀짜기를 시도했던 시기인 것이다. 당시 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맹자 역시 중앙집권적 군주의 천하통일을 위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제시한 사상가였다. 그는 정치론, 사회-경제론, 인성론의 방면에서 공문유학을 수정하여 새로운 유학적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맹자철학의 구조를 앞의 세 방면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런데 특히 맹자는 과 이라는 두 가지 기제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구조화하였다. 정치 공간에서는 天下ㆍ中華(華夏)라는 동일성과 華/夷ㆍ四海의 안/팍ㆍ중심/변방ㆍ인간/금수’와 같은 배타적 차별성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4
    맹자(孟子)의 왕도론(王道論)과 화이(華夷)사상. 김상희 - 2008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0 (30):183-213.
    본 연구의 목적은 朱子의 기질 변화설에 담긴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주자의 理氣論 구도에서 보자면, 기질 변화설은 기질이라는 숙명의 원죄를 씻고 본연의 선한 품성을 회복한다는 선악 이원론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질 변화에 대한 주자의 의도가 다른 데에 있었다고 파악하고, 사상사적 맥락 안에서 기질 변화설의 수양론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자는 陸象山과 같은 내면-주관적 수양론자들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기질 변화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주자에 따르면, 육상산은 현실의 기질 문제를 쉽게 간과해버린 채 마음의 본체만 직관하려고만 하는데, 그런 태도에는 두 가지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The Vortex of Qi Cosmology in Chuang-tzu - from the Viewpoint of Viktor Schauberger's Thought -. 김상희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 (66):139-167.
    장자는 여러 곳에서 동일한 비유를 즐겨 사용하였다. 그것은 나선형적인 율동의 이미지이다. 이런 비유는 자연에너지의 근원적 율동을 나선형으로 이해한 것이며, 이로부터 장자의 기 우주론 역시 밝혀 낼 수 있다. 장자는 ‘윤리를 초월한 윤리’를 주장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입장을 나선형적 기 우주론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장자와 비슷하게 나선형적 율동으로 자연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는 현대 과학자로 빅터 샤우버거가 있는데, 장자와 빅터는 동일하게 삼림군이라는 직업을 가졌다. 숲 관리인이었던 그들답게 깊은 숲에서 발원하는 물에 대해서도 양자는 비슷한 사유를 전개하고 있다. 물에 대한 이들의 사유는 자연계와 우주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