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4
    Mathesis Universalis and the Problem of Proportion in Descartes - Focusing on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 -. 김상봉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8:71-90.
    이 글은 데카르트의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에서 보편 수리학의 관점에서 비례의 개념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편 수리학이란 데카르트 자신의 설명에 따르면, “순서와 척도에 관해 연구될 수 있는 것을 모두 설명하는 어떤 일반적인 학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측량할 수 있는 모든 크기를 그 차원이나 존재 방식과 무관하게 어떤 보편적 인식 원리에 따라 규정하고 인식하는 것이 보편적 수리학의 과제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보편 학문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던 장벽이 있었는데, 그것이 수와 도형의 통약 불가능성 그리고 같은 도형에서도 차원이 다른 도형들 사이의 연산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1
    Being in Encounter - Ham Seok Heon and the Problem of Being -. 김상봉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24.
    함석헌의 초기 존재론의 기본 구조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주제이다. 그것은 몇 가지 주요한 명제로 요약할 수 있다. 1.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처럼 함석헌에게서도 신학과 존재론이 형이상학적 사유 속에서 공속한다. 2. 존재가 공간적 전체가 아니라 시간적 전체로서 표상된다. 이로써 역사가 존재의 지평이 된다. 3. 존재의 의미는 역사의 뜻으로 드러난다. 이로써 존재론 또는 형이상학은 역사철학이 된다. 4. 역사의 뜻은 객관적 인식의 대상도 종교적 믿음의 대상도 아니며, 전체 역사 속에서 각자 자기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깨닫는 것에 존립한다. 이 깨달음 속에서 나와 절대자의 인격적 만남이 일어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0
    Descartes and the Problem of Music - on the “object” of music. 김상봉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1:1-25.
    이 논문은 데카르트의 『음악입문』(Compendium Musicae)에서 대상(objectum)의 개념을 근대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데카르트가 근대적 주체의 이념을 선구적으로 제시한 철학자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그가 근대적 의미에서 대상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철학자인지 어떤지는 그렇게 분명치는 않다. 하지만 철학자이면서 음악학자였던 요한네스 로만은 데카르트의 『음악입문』에서 근대적 대상의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주장에 대해 아무런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먼저 로만의 주장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학문의 주제와 능력의 대상의 구별을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중세에서 근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어떻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