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3
    A Deconstructionist Study for A Reflective Image in The Age of Visual Communication - By Derrida s Deconstructionism -. 김병환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81-108.
    이 글은 영상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영상커뮤니케이션의 사진 영상이미지들과 동영상이 미지들에 대해 해체, 디페랑스, 탈중심과 대리보충, 컨텍스트를 통해 해체론적 특성들을 밝히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존재 의미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리다의 해체론적 해체는 일어나는 것이고 파괴임과 동시에 구성이다. 디페랑스란 차 이나고 지연하다는 의미이고, 공간적 차이와 시간적 차이를 뜻한다. 이 디페랑스와 함께하 는 탈중심과 대리보충은 모든 텍스트에 적용되고, 컨텍스트는 차이의 네트 워크 속에서 시 공적 차이를 이루면서 열린 컨텍스트가 되고 있다. 이런 특성들은 영상이미지 텍스트와 연 관되고 그 텍스트 속 이미지들 간에 작용하고 있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0
    A ontological study on the Image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On the Base of Merleau-Ponty's Flesh-Ontology -. 김병환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355-383.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의 이미지 시대에서 메를로-퐁티의 살-존재론적 입장에서 세계 속 ‘신체 주체의 살’과 ‘세계의 살’ 및 이미지의 본질적 특성을 밝히고, 그의 살-존재론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사회 속 이미지의 성질과 중요성을 고찰하며, 회화이미지·사진이미지·영화이미지의 특성과 가치 및 효용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밝힘으로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사람 존재의 참된 의미와 우리의 미래지향적 길을 드러낼 것이다. 신체 주체와 세계의 교차에서, 신체 주체는 세계에 대한 살을 가지고, 동시에 세계는 신체 주체에 대한 살을 가진다. 가역성과 가시성으로서의 살, 즉 교차적 살은 모든 존재자의 특성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9
    A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Study for A Reflective Image in The World of Images - By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Ontology -. 김병환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1-26.
    이 논문은 영상커뮤니케이션 세계 속에서 소통되고 있는 사진 영상이미지들과 동영상 이미지들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특성, 즉 교차로서의 살을 통한 영상이미지들의 특성을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살-존재론을 토대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런 밝힘은 사진 영상이미지와 동영상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 소통자들로 하여금 존재 의미를 인식하게 할 것이다. 영상이미지들의 현상학적인 살-존재론적 특성은 크리에이터의 영상이미지 제작에 활용될 것이다.BR 차이장을 지평으로 한 차이들이 일어나고 있는 사진 영상이미지는 사진 속 형태와 형태, 색깔과 색깔, 형태와 색채, 부분이미지와 전체이미지 간의 차이와 상호적 교차로서의 살을 통해 사진 영상이미지의 사태 자체를 드러내는 현상학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2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mage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On the Base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 김병환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4:43-70.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image’ of everything for the image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the phenomenological dimention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to clarify the value of image,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painting-image’, ‘photo-image’ and ‘film-image’. It will reveal that ‘thing-image’, ‘artifact-image’, ‘digital image’, ‘robot-image’ become the images for society of humanities by these clarifications. The image of everything is ‘appearance-image’ to reveal itself, ‘expression-image’ from the phenomenological, ontic point of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7
    A study on the Deconstructivist, Flesh-Ontological Analysis for Van Gogh’s World of Art and the Pro-intentional Beauty of Consilience. 김병환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7:117-147.
    이 글은 강렬한 인상과 사유를 통해 대립적 색채-형상의 예술미를 표현하였던 고흐의 예술 세계에 내포되어 있는 해체주의적 특성과 살-존재론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창의적 예술 세계가 펼쳐질 수 있는 미래지향적 예술의 한 양상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 예술미로서의 통섭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체란 파괴임과 동시에 구성이다. 고흐의 예술 세계가 내포하고 있는 해체주의적 특성은 인상적인 보색 대비의 양상에서 잘 드러난다. 회화에서 색채와 형상의 차연적인 흔적을 통해서 아름다운 것들은 드러난다. 색채와 형상을 통한 아름다움은 바로 아름다운 것들의 흔적에 의한 것이다. 그것들은 차이의 시간·공간적 네트워크로서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Flesh of Film-Image - On the Base of Merleau-Ponty s Phenomenological Flesh-Ontology -. 김병환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35-61.
    이 글은 세계 속 신체-주체와 지각 대상의 접속에 의한 지각 현상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속 영화이미지의 현상학적 특성과 현상학적인 존재론적 살로서의 영화 이미지의 특성 및 영화이미지의 존재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밝힘으로 말미암아 현상학적인 존재론적 살로서의 영화이미지의 가치가 드러날 것이다. 현상학적 지각 현상은 차이장 속 차이의 지각 현상이 되고 차이 존재를 토대로 지각 현 상 자체를 나타내는 차이존재론적 지각 현상이 된다. 지각 현상은 운동적인 지각지평-차 이장 속 역동적인 차이들이 시공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총체적 시스템의 지각 현상이다. 시간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4
    Confucian Perspectives on Embryo Research in Bioethics Age. 김병환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49 (49):427-458.
    본 논문은 배아연구와 관련된 당대 생명윤리 문제에 유가적 사유가 어떤 입장을 개진 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의식에서 집필되었다. 당대 생명공학과 의료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윤리적 담론으로 해결할 수 없는 여러 문제들을 야기 시키고 있는데, 인간복제나 유전자 조작 등의 문제가 그것이다. 배아연구와 관련된 논의의 핵심은 본문에서 밝혀지듯이 배아가 인간인가 하는 점인데, 현대의 분자생물학적인 접근이나 철학적, 종교적 접근에 의한 인문학적 해석이 구구하며 여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가철학도 배아가 인간인지 아닌지를 밝혀주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정서에 맞는 생명윤리를 정초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유가철학을 포함한 전통철학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