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大丈夫論에 관한 硏究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100 (98):355-387 (2019)
  Copy   BIBTEX

Abstract

공자는 다른 사람이 표현하는 말을 살펴 파악할 줄 아는 ‘察言’과 말의 잘잘못에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간사함과 올바름을 알아채는 ‘知言’을 중시했다. 맹자 또한 공자의 ‘知言’을 한층 더 발전시켰다. 맹자는 인의예지 본성이 발현되는 과정에 이기적인 욕심보다 순수한 본마음에서 나오면 말이 바르게 나올 수 있지만 이기적인 계산이 개입되면 본마음보다 이기적인 욕심의 비중이 더 커지기 때문에 표현되어 나오는 말이 비뚤어지게 나오게 된다고 파악했다. 비뚤어지게 나온 말로 욕심에 가려진 말인 詖辭, 욕심에 빠진 말인 淫辭, 본심에서 이탈되는 말인 邪辭, 본심이 사라진 말인 遁辭 등이 있다. 순수한 본마음이 이기적 욕심으로 가려지면 말이 순조롭지 않고 비뚤어지게 나온다. 말을 삐딱하게 하는 사람을 관찰해 보면 그가 욕심에 가려져서 진실을 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순수한 본마음이 이기적 욕심으로 가려지는 것이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명예욕, 물욕 등의 욕심에 푹 빠지게 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자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명예에 손상을 입고 돈을 잃게 되면 이성을 잃고 말이 비뚤어지는 정도를 넘어서 지나칠 정도로 격해진다. 순수한 본마음에서 이탈되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희생시키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되고 말이 사악해지고 편벽된다. 순수한 본마음이 사라지면 내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표현하는 말이 곤궁해지고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고 억지로 꾸며서 말을 하게 된다. 욕심에 가려지면 진실을 말할 수 없다. 욕심을 걷어낼 때 진실을 말할 수 있다. 욕심에 가려져 비뚤어진 타인의 말을 듣고 자기의 마음을 비추어 보아 자기에게도 그런 점이 있다면 빨리 욕심을 걷어낼 필요성이 있다. 욕심을 없애기 위해서는 본심에서 이탈하는 순간을 잘 포착해서 본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바로잡아야 한다. 본심이 이탈되는 순간 자기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이탈되기 전으로 돌아가면 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는 말이나 상대방이 나에게 표현하는 말을 파악할 때도 본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타고난 본마음을 잘 보존하고 仁義禮智 본성을 함양하는 存養省察의 수양과 호연지기 함양이 필요하다. 본심이 사라져 버린 상태의 말을 하는 사람은 본심을 찾기가 어렵다. 본심이 사라진 사람은 마음을 들여다보아도 본심을 알기 어렵다.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궁리해 보는 格物致知의 방법을 통해 본심을 이해한 다음에야 가능하다. 사람 사이에 공유할 수 있는 말은 마음의 표현이고 그 사람의 品格을 나타낸다. 맹자가 말한 知言의 역량을 갖추게 되면 스스로 본마음에 합치되는 말을 하기 때문에 평정심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사람이 표현하는 말에 대해서도 겉으로 드러난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지 표현하는 말의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敬聽을 통해 다른 사람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꿰뚫어 보고 대처해 나가기 때문에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게 되고, 차마 있는 그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적절한 말을 통해 그들의 아픔을 어루만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사람의 말을 제대로 파악하면 참되고 믿음직스러우며 능력이 있는 인재를 선출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정치를 맡길 수 있다. 정치를 하는 사람 또한 국민들이 말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자신의 마음을 훤히 꿰뚫고 있다고 여기면 언행일치의 삶을 살면서 자신의 마음을 꿰뚫고 있는 국민의 기대에 부합되는 정치를 하려고 노력할 것이고, 모든 구성원이 하나의 마음으로 어우러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이상 사회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8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the Child Education Theory of Confucianism. 이상호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9 (79):115-145.
A Study on the way of Xieju in Great Learning. 이상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5 (75):167-196.
Remarks on Mencius' a Gentleman's Three Joys. 이상호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0):1-21.
A Study on Hosaengjideok in "Shu Ching 』)". 이상호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79-107.
A study on pleasure in Confucianism. 이상호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49 (49):117-152.
A Study on Confucian Economic Ethics - Revolving around relative on Benevolence -. 이상호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8):125-154.
The happiness theor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Five Blessings concept. 이상호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0 (60):133-162.
Implication of Humanity Education in Nammyeong (南冥) Cho Shik’s (曺植) Thought. 이상호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32):81-109.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3 (#955,400)

6 months
13 (#281,08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