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therapy of the Uhwan-Uisick shown in the Juyeok(The Book of Change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157-175 (2019)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주역』을 중심으로 우환의식이라는 동양의 독특한 사고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흔히 우환과 우환의식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 그러나 우환은 마음 안에 걱정이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놓여 있는 인간은 제대로 주변을 인식하거나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우환의식은 고난이나 곤경에 처한 인간의 심리상태인 우환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의식적 깨달음이자 행위이다. 따라서 우환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우환의식을 가지면 현재의 상황을 개선시키고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우환의식은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자기 상황에 대한 책임 및 결정을 외재의 신에게 맡기는 것 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위의 결과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태도이다. 이러한 우환의식이 『주역』의 발생배경이 되었다. 은말주초에 제작된 『주역』은 믿음의 대상이 ‘신’에서 점점 인간 행위에 대한 노력과 결과로 바뀌어가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등장했다. 이런 변화는 인간의 주체성이 도덕적 책임의식으로 나아가는 발로가 되었다. 기존의 사고라면 우환이 닥쳤을 때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그 뜻을 알아내려는 것에 더 중점을 두었는데 반해, 『주역????에 서는 하늘의 뜻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개인이 스스로 우환에 당면했을 때 극복하기 위해 어떻 게 행동해야하는가에 역점을 두고 있다. 『주역』에서 우환을 극복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계신공구와 무구이다. 삼가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항상 나의 행동을 돌아보고 반성 하는 태도이다. 여기에서 우환의식의 철학치료적 요소가 드러난다. 우리는 길흉화복을 주어진 결과로서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위에 의해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변 화의 상황으로 인식하게 되면 더 이상 주어진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상황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려는 의지를 가질 수 있다. 바로 자기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우환의식을 통한 삶의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태도가 철학치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risis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Zhouyi 周易. 안승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23-358.
周易의 宗敎性에 관한 小考. 김재홍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5 (65):221-250.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erapy. 이연도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41-60.
A Study on the Irresponsible Society. 변순용 - 2016 - Environmental Philosophy 21 (21):95-116.
Autonomy and Human Rights Education. 김덕수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9:55-74.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IKIILBAL(理氣一發)' to appear 'JUIBAL(主理而發)' of the implications and trends in Seong Hon(成渾). 김승영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 (75):187-20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0 (#1,474,523)

6 months
8 (#597,84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